맨위로가기

빈란드 사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빈란드 사가는 10세기에서 11세기 바이킹 시대를 배경으로, 실존 인물 토르핀 카를세프니의 모험을 모티브로 한 유키무라 마코토의 만화이다. 폭력과 복수, 평화의 의미, 이상향 추구를 다루며, 2009년 일본 문화청 미디어 예술제 만화 부문 대상 등을 수상했다. 주인공 토르핀은 아버지의 복수를 위해 아셰라드 병단에서 성장하며, 노예 생활을 거쳐 빈란드라는 이상향을 찾아가는 여정을 그린다. 2019년과 2023년에 각각 시즌 1, 2가 방영된 애니메이션으로도 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덴마크를 배경으로 한 작품 - 로젠크란츠와 길덴스턴은 죽었다
    《로젠크란츠와 길덴스턴은 죽었다》는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햄릿》에 나오는 조연 로젠크란츠와 길덴스턴의 시각으로 《햄릿》 이야기를 재구성한 톰 스토파드의 부조리극으로, 희곡, 영화, 라디오극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었다.
  • 덴마크를 배경으로 한 작품 - 코펜하겐 카우보이
    《코펜하겐 카우보이》는 행운을 가져다주는 소녀 미우가 코펜하겐 범죄 세계에서 겪는 이야기를 그린 넷플릭스 오리지널 덴마크 드라마이다.
  • 격투기 애니메이션 - 주술회전
    주술회전은 게게 아쿠타미가 그린 만화로, 인간의 부정적인 감정에서 비롯된 저주와 싸우는 주술사들의 이야기를 다루며, 주인공 이타도리 유지가 료멘 스쿠나의 손가락을 삼킨 후 주술고등학교에서 동료들과 함께 저주를 퇴치하고 스쿠나를 제거하는 임무를 수행하는 작품이다.
  • 격투기 애니메이션 - 바키
    바키는 한마 바키가 아버지 한마 유지로를 뛰어넘기 위해 강해지는 과정을 그린 격투 만화 시리즈로, 지하 격투, 사형수와의 대결, 고대 스모 융합 등 다양한 에피소드를 통해 격투가들의 열정과 투지를 보여주며, 《주간 소년 챔피언》에서 1991년부터 연재되어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미디어 믹스로 제작되었다.
  • 해적물 - 해적: 바다로 간 산적
    해적: 바다로 간 산적은 2014년 개봉한 한국 영화로, 국새를 삼킨 고래를 잡기 위해 바다로 모험을 떠나는 산적과 해적들의 이야기를 다루며, 866만 명 이상의 관객을 동원하며 흥행에 성공했다.
  • 해적물 - 블랙 라군
    《블랙 라군》은 히로에 레이의 만화로, 태국 로아나프라에서 용병업을 하는 라군 상회의 이야기이며, 샐러리맨 출신 록이 합류하여 범죄 조직과 겪는 갈등을 그리고 있고,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미디어 믹스로 제작되었다.
빈란드 사가 - [영화]에 관한 문서
개요
빈란드 사가 1권 표지 (애프터눈 에디션), 토르핀
빈란드 사가 1권 표지 (애프터눈 에디션), 토르핀
장르모험
서사
역사
원작마코토 유키무라
만화 정보
작가마코토 유키무라
출판사고단샤
영문 출판사고단샤 USA
연재 잡지주간 소년 매거진 (2005년 4월 13일 – 2005년 10월 19일)
월간 애프터눈 (2005년 12월 24일 – 현재)
레이블소년 매거진 코믹스 (과거)
애프터눈 KC (현재)
연재 시작2005년 4월 13일
단행본 권수28권 (2024년 6월 현재)
단행본 목록빈란드 사가 챕터 목록
대상 독자층소년
청년
애니메이션 정보
원작마코토 유키무라
감독야부타 슈헤이
시리즈 구성세코 히로시
각본세코 히로시, 이노하라 겐타
캐릭터 디자인아비루 타카히코
음악야마다 유타카
애니메이션 제작사시즌 1: WIT STUDIO
시즌 2: MAPPA
제작시즌 1: 빈란드 사가 제작위원회
시즌 2: 빈란드 사가 SEASON2 제작위원회
방송국시즌 1: NHK 종합
시즌 2: TOKYO MX 외
방송 기간시즌 1: 2019년 7월 8일 ~ 2019년 12월 30일
시즌 2: 2023년 1월 10일 ~ 2023년 6월 20일
화수시즌 1: 전 24화
시즌 2: 전 24화

2. 등장인물


  • '''레이프''' (에이리크의 아들, 레이프)

: 그린란드 출신의 기독교도로 대서양을 여행하는 쾌활한 아저씨이다. 어린 토르핀에게 빈란드의 여행 이야기를 들려준다. 의리가 있는 인물로, 토르즈의 은혜에 보답하기 위해 행방불명된 토르핀을 11년 동안 계속 찾고 있었다. 1014년에 요크에서 토르핀과 재회하여 함께 돌아가자고 설득하지만, 복수에 불타는 토르핀에게 거절당한다. 그래도 토르핀을 아이슬란드로 데려가는 것을 포기하지 않고, 노예가 된 토르핀을 신원하려고 각지의 노예 시장을 찾아다닌 결과, 케틸을 만나 그의 농장에서 토르핀과 재회한다. 그 후 토르핀의 형제가 된 에이나르를 데리고 아이슬란드로 돌아갔다.

  • '''토르즈'''

: 토르핀의 아버지로 본명은 토르즈 스노레손이다. 토르핀에게 이상적인 인물로, 강한 영향을 준다. 인덕이 넘치는 성품이다. 요옴 전사단의 4명의 대대장 중 한 명으로, "욤의 전귀(트롤)"라고 불린 냉혹한 전사였지만, 장녀 율바의 탄생과 아내 헬가로 인해 전장의 비정함과 무의미함에 염증을 느껴 "진정한 전사"란 무엇인가를 깨닫고 전사로서의 자신을 포기하기로 결심한다. 987년 요르항가바그 전투에서 익사한 것처럼 위장하여 헬가와 율바와 함께 탈주한다. 이때 대대장 토르켈에게 발견되지만, 문답 끝에 그를 제압하고 처자를 데리고 덴마크를 탈출하여 평화로운 생활을 보낸다. 그러나 그의 생존은 욤의 수령에게 알려져, 덴마크의 잉글랜드 침공 때문에 마을을 인질로 잡힌 출정 요청에 응하고, 다시 전장으로 향하기로 결심한다. 하지만 전사단 소대장 플로키는 토르즈에게 사적인 원한을 품고 있었고, 몰래 아셰라드 병단에 토르즈의 암살을 의뢰했다. 페로 제도에서 아셰라드 병단의 함정에 빠진 토르즈는 맨손으로 병단을 압도하지만, 아셰라드와의 결투 끝에, 토르핀 등의 목숨과 맞바꿔 자신의 목숨을 내준다.
: 토르핀의 어머니이자, 욤 전사단의 수령 시구르발디의 딸이자 토르켈의 조카이다. 싸움을 그만두기로 결심한 토르즈에게 동의하고, 갓난아기 율바를 데리고 아버지 곁을 떠났다. 온화한 성격이지만, 율바의 탄생에 즈음하여, 딸이었음에 실망한 토르즈가 이름을 붙이기를 게을리하려고 하자 격노하여 이름을 짓도록 강요했다. 1014년 시점에서 건강이 악화되고 있으며, 1018년 12월에 토르핀과 재회하여 한눈에 토르핀임을 알아보고 따뜻하게 맞이했다. 딸 부부와 손자들에게 둘러싸여 살고 있다.

  • '''율바'''

: 토르즈의 딸이자 토르켈의 종고모이며, 토르핀의 누나이다. 어머니를 닮은 미모는 마을 청년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지만, 남자 못지않은 체력을 가지고 있으며, 성격도 매우 괄괄하다. 금전에 집착하지 않는 아버지와는 달리 현실적인 가치관을 가지고 있다. 토르즈의 죽음 이후, 남자의 손을 잃은 가정을 필사적으로 지탱하려고 맹렬하게 일상을 보낸다. 아레와 결혼하여, 1018년 시점에서는 4명의 아이의 엄마가 되어있다. 1018년 12월에 토르핀과 재회하여 처음에는 가짜라고 생각하고 상대하지 않지만, 진짜임이 밝혀지자 연락 없이 집을 비운 동생을 어퍼컷으로 맞이한다.

  • '''하르프단'''

: 토르핀들의 마을 옆에 있는 마을의 영주이다. 냉혹할 정도로 규율을 중시하며, 질서는 사람을 쇠사슬로 묶는 것으로부터 생긴다는 신념을 가지고 있다. 철사슬을 무기나 고문 도구로 다루는 데 능숙하며, 법을 경시하는 태도에는 부하에게조차 용서가 없다. 묶인 제비갈매기 편에도 등장하며, 나이가 들었지만 그 영향력은 더욱 강해지고 있다. 가난한 자작농에게 융자를 해주고, 변제하지 못하면 토지를 몰수하여 소작화시키고 부를 늘리고 있지만, 그 결과 부담이 가벼워져 이전보다 생활이 편해진 소작농도 많다. 빈란드와의 거래를 위한 중계 기지가 될 레이프의 농장을 측근에게 붙이려고, 아들 시구르드와 구즈리즈를 결혼시키려 한다.

  • '''아레'''

: 토르핀 일가의 이웃이자, 율바를 짝사랑하지만 유년 시절 편에서는 상대받지 못한다. 마을 젊은이들 중에서도 강한 혈기를 가지고, 토르즈가 출정할 때 전쟁에서 한몫 잡으려고 동행했지만, 진짜 전쟁에서는 통하지 않았고, 토르즈의 죽음에 격앙하여 아셰라드에게 덤벼들었지만, 한 방에 쓰러지고 만다. 후에 율바와 결혼하여, 1018년 현재 4명의 아이를 둔 아버지가 되었다.

  • '''플로키'''

: 요옴 전사단의 소대장이다. 험악한 인상에 엄격한 군인 기질이지만, 실제로는 질투심 많고 모략가로, 사욕으로 아셰라드에게 토르즈를 암살하게 한다. 그 후에도 토르즈 외 유력자를 차례로 암살하여 욤 전사단을 장악한다. 덴마크 왕위 계승 문제에서는 할랄드파로, 크누트 귀환 후에는 왕자를 매장하기 위해 간계를 펼치며 아셰라드와 대립한다. 스벤 왕의 사후, 왕을 대신하여 데인군의 주도권을 얻으려고 했지만 크누트에 의해 허무하게 빼앗긴다. 크누트가 왕위에 오른 후에는 중신으로서 크누트를 보좌하고 있지만, 욤 전사단 소속으로 크누트와는 동맹자와 같은 관계에 있다. 북해 횡단 편에서는, 손자 발드를 차기 욤 전사단의 수령으로 만들려고 책략을 꾸미고 있었지만, 토르핀이 토르즈의 아들임이 밝혀지자, 차기 수령을 위협하는 존재로서 위험시하고, 말살에 나선다. 그러나, 가름이 토르켈에게서 가로채는 형태로 바군을 쳐 죽인 것으로 격노한 토르켈과 교전하게 된다. 종반, 문이 파괴된 것으로 욤스보르그를 포기하고 도망치려 했지만, 발드와 헤어진 것으로 탈출에 실패하여 붙잡힌다. 종전 후, 토르핀에 의해 처형은 면했지만 발드와 함께 추방을 선고받고 넋을 잃은 상태가 된다.

  • '''비요른'''

: 아셰라드 병단의 일원이다. 아셰라드의 두터운 신임을 받는 오른팔로, 십수 년 동안 함께 싸워온 용병단 최고의 고참이지만, 아셰라드의 과거에 관해서는 아무것도 모른다. 살인을 좋아하기 때문에 싸우는, 전사로서의 긍지가 높은 남자이다. 유사시에는 "광전사의 버섯"이라고 불리는 버섯을 복용하여 이성에서 해방된 광전사가 된다. 병단의 반란 때에도 아셰라드에 대한 충의를 지키고, 크누트 왕자를 보호하여 도주한다. 추격자를 물리치기 위해 광전사화하여 대부분을 살해하지만, 정신을 차렸을 때 허점을 찔려, 토르그림, 아트리 형제의 아트리에게 옆구리를 찔려 중상을 입는다. 자신의 죽음을 깨달은 그는 존경하는 아셰라드의 손으로 죽는 것을 선택했고, 그와의 우정을 확인하고 나서 죽었다.

  • '''토르켈'''

: 전쟁을 좋아하는 데인인의 무장이다. 욤 전사단 수령으로 토르핀의 어머니 헬가의 아버지 시구르드의 동생이며, 토르핀의 외삼촌에 해당되는 인물이다. 매우 거대한 체구를 자랑하며, 욤 전사단뿐만 아니라 덴마크군에서도 최상위 클래스의 귀신이다. 나이가 50을 넘었음에도 그 거구에서 뿜어져 나오는 괴력은 건재하며, 보통 사람을 아득히 초월하는 힘을 가지고 있다. "전사"라는 존재 방식에 대한 자긍심이 강하며, 전투의 여신(발키리)에게 발할라로 인도되기를 바란다. 좋은 싸움을 위해서는 적에게 투항하는 것도 꺼리지 않지만, 목숨을 아껴 투항해 온 자는 용서 없이 살육한다. 겉과 속이 없는 쾌활한 성격으로, 부하 전사들과 한 번은 배신했던 덴마크 왕국의 여러 장수들에게서도 매우 강한 인기를 얻고 있다. 개구리를 싫어한다. 과거 욤 전사단의 4명의 대대장 중 한 명으로, 토르즈에게 강한 우정과 존경을 품고 있었다. 전사한 줄 알았던 토르즈와 재회하여 기뻐했지만, 그의 탈주 계획을 알고 격분하여 처벌하기 위해 싸움을 걸었지만, 패배하여 탈주를 허용한다. 훗날 "진정한 전사"란 무엇인가를 알게 된 토르즈를 따르지 않은 것을 계속 후회하게 된다. 손맛이 있는 싸움을 원하며 데인군에서 잉글랜드 측으로 투항하여 런던의 수장이 되었다. 런던 전투에서 크누트 왕자를 격파한 후, 크누트의 신병을 되찾기 위해 아셰라드 병단을 추적한다. 아셰라드를 배신하고 투항해 온 전사들을 거의 몰살시켜 병단을 괴멸시켰다. 그 후, 아셰라드의 신병을 두고 토르핀과 결투를 벌여 토르핀을 압도하고 궁지에 몰아넣지만, 아셰라드의 조언을 받은 토르핀에게 약점인 턱에 일격을 당해 쓰러지고 스스로 패배를 인정한다. 이 결투 때, 왼쪽 눈을 토르핀에게 꿰뚫려 실명한다. 그 후 나타난 크누트의 눈에서 토르즈와 비슷한 신비한 빛을 발견하고, 크누트를 따르기로 결심하고, 데인군에 복귀한다. 그 후, 평정한 영지의 통치를 맡게 되지만, 사소한 싸움조차 일어나지 않을 정도의 평화로움 때문에 싸움에 굶주리게 된다. 싸움을 찾아 크누트 곁을 떠나 플로키의 바군 토벌 요청을 받고 욤 전사단 진영을 방문했을 때 토르핀과 재회하고, 플로키에게 토르핀이 토르즈의 아들임을 밝혔다. 그 후, 바군 토벌에 나서지만, 바군이 잠입해 있던 욤 전사단의 가름에게 살해된 것을 알고, 먹이를 가로챈 것에 격분한 그는, 바군 대대를 끌어들여 플로키 타도를 목표로 한다. 플로키 측의 설득에 귀 기울이지 않았지만, 원흉인 가름의 신병을 받자 그의 간청으로 일대일 대결을 벌여 무승부를 기록한다. 그 후, 욤스보르그 공략에서는 초전에서 다량의 통나무를 떨어뜨린 데다 불을 질러 화염에 휩싸여 큰 화상을 입지만 곧 복귀, 문을 부순 후 플로키를 찾지만 유밀이 가로막아 호각으로 싸운 끝에 쓰러뜨린다. 종전 후, 일시적으로 수령 자리에 오른 토르핀이 욤 전사단의 해산을 선언했을 때, 토르핀에게 부탁받아 토르켈은 크누트의 밀명이 있었음을 욤 전사단에 밝혀 해산을 강제했다. 그 후, 토르켈은 그 대가로 토르핀에게 결투를 신청했지만, 구즈리즈의 필사적인 중재로 결투를 취소한다.

  • '''아스게이트'''

: 토르켈 군의 부장이다. 싸움밖에 관심 없는 토르켈을 대신해 토르켈 군의 지시를 내리는 일도 많은 인물이다. 토르핀과의 결투에 훼방을 놓아 토르켈의 분노를 사지만, 목숨을 걸고 토르켈을 간언해 보인다. 그것을 본 아셰라드로부터 그 태도와 담력을 높이 평가받고 있다. 또한, 크누트 진영의 주요 작전 회의에 토르켈이나 아셰라드와 함께 참여하고 있다.
: 아셰라드 병단의 간부 형제이다. 토르그림은 덩치가 좋고 거친 성격의 형이고, 아토리는 바이킹답지 않게 다소 소심한 동생이다. 상당히 베테랑이었지만 토르켈 군의 위협 앞에 아셰라드를 버리고, 병단을 선동하여 반란을 일으킨다. 아토리는 도망간 크누트 등을 쫓고, 토르그림은 발목을 잡고 있는 아셰라드와 싸운다. 아토리는 추적 도중 토르핀에게 얼굴을 발로 차여 낙마하여 기절한다. 정신을 차렸을 때 크누트에 집중하고 있는 비요른을 기습하여 칼로 깊은 상처를 입히지만, 왕으로서 각성한 크누트를 따라 왔던 길을 되돌아간다. 한편, 토르그림은 아셰라드의 다리에 부상을 입혀 붙잡은 곳에 토르켈 군이 도착, 곧 무기를 버리고 항복을 신청하지만, 토르켈은 그것을 허락하지 않고 아셰라드 외에는 모두 몰살당한다. 자신은 토르켈과 대치하지만 그의 무시무시한 위압 앞에 정신이 붕괴되어 멍하니, 아토리가 돌아왔을 때는 그의 일을 알 수 없을 정도로 정신이 유아 퇴행하고 있었다. 그 후, 아토리는 아셰라드로부터 여비를 얻어 토르그림을 데리고 고향으로 돌아간다. 북해 횡단 편에서 다시 아토리가 등장해, 가족을 가지고 있었지만 먹고 살기 위해 도둑질을 하고 있었다. 바군의 진영에서 도둑질을 하려다 붙잡혀, 심문받았을 때 플로키의 의뢰로 토르즈를 죽였다는 것을 밝혔다.
: 크누트의 충신이자 교육 담당이다. 기독교도로 뾰족머리가 특징이다. 권력 투쟁이 반복되는 옐링의 왕궁에서 병약한 크누트를 지켜왔다. 크누트가 토르핀과 언쟁하기 전까지는 그의 유일한 대화 상대였다. 크누트의 "왕으로서의 성장"을 촉구하기 위해, 아셰라드의 책략으로 살해당한다. 그 후, 크누트의 꿈에 나타나 "왕으로서의 깨달음"을 고하고 사라졌다.

  • '''빌리발드'''

: 크누트 왕자의 교사를 맡고 있는, 기독교수도사이다. 부스스하게 자란 머리카락과 수염 때문에 나이가 들어 보이지만, 사실은 23세의 청년이다. 몸단장을 하면 나이에 맞는 얼굴이 된다. 극도의 알코올 의존증으로, 술자리에서는 술의 신 에기르의 환생이라고 불릴 정도의 주호(酒豪) 기질을 보여주었다. 초라한 모습과 기이한 언행 때문에 주변으로부터 얕잡아 보이지만, 스스로의 신앙 안에서 열렬하게 "사랑"이란 무엇인가를 항상 추구하고 있다. 아셰라드 병단의 고참으로부터 토르즈의 "진정한 전사에게 칼은 필요 없다"라는 말을 듣고, 거기에서 힌트를 얻는다. 그 후, 라그나르를 잃은 크누트에게 "사랑"의 본질이 무엇인가를 가르치고, 그를 왕으로 이끈다.

  • '''스벤'''

: 덴마크 왕이자 크누트의 아버지이다. 잉글랜드 원정을 주도하고, 데인인 지배 지역(데인로)에 체류하여 요크를 거점으로 정비한다. 한때 왕국을 걱정하여 아버지로부터 왕위를 찬탈했지만, 자신도 왕위가 가져다주는 권력의 유지와 확대의 욕구에 사로잡힌다. 왕위 계승과 관련하여, 두 아들에 의한 가신들 간의 내란과 그에 따른 국력 약화를 우려하여, 맏형 하랄드보다 빈약한 차남 크누트를 잉글랜드에서 전사시키려 꾀한다. 그러나, 뜻대로 되지 않고 크누트가 고난을 극복했기 때문에, 그에게 변두리인 콘월을 주어 회유를 시도하지만, 크누트의 심복 아셰라드에게 오히려 역으로 당하고 만다. 하지만, 아셰라드의 웨일스에 대한 집착을 재빨리 알아차리고, 요크의 연회 석상에서, 그에게 웨일스 아니면 크누트 중 선택을 강요하지만, 자신의 목숨과 맞바꿔 둘 다를 구하는 선택을 한 아셰라드에게 목이 잘려 사망한다. 사후, 생목의 모습으로 크누트 앞에 자주 나타나, 자신과 같은 길을 걷는 크누트를 비꼰다.

  • '''군나르'''

: 라그나르의 동생으로, 풍모는 똑같지만 형보다 호리호리하다. 라그나르의 명령을 받아 크누트의 망명처를 확보하고 있었지만, 크누트는 스벤 왕과 대치하는 길을 선택했기에 망명을 거절한다. 형 라그나르와 함께 크누트 측으로 일했지만, 형의 죽음을 들은 후, 스벤 왕 측의 간첩을 맡는다. 그 행동은 아셰라드에게 간파당했지만, 일부러 내버려 두었다. 크누트가 잉글랜드 왕위에 오른 후에는, 플로키와 함께 중신으로서 크누트를 지탱하고 있다.

  • '''케틸'''

: 토르핀을 노예로 산 데인인 지주이다. 옛날에는 그 용맹한 싸움 솜씨 때문에 "철권의 케틸"이라는 이명을 얻은 전사였다는 일화가 젊은 전사들 사이에서 알려져 있지만, 사실은 "철권의 케틸"은 동명의 다른 인물이며, 주변의 오해를 부정하지 않고 이용하고 있을 뿐이다. 이 사실을 알고 있는 것은 진짜 "철권의 케틸"과 안면이 있는 "뱀", 비밀을 털어놓은 아르네이즈뿐이다. 스스로 솔선해서 농장에서 일하는 근면한 인물이다. 에이나르나 토르핀에게 자유 신분을 사기 위한 방책을 주거나, 자신의 농장에 도둑질을 하러 들어온 어린 남매의 딱한 사정에 동정하여 눈물을 글썽이는 등, 온화하고 상냥한 성격의 소유자이다. 그러나 강함을 최우선으로 하는 데인인 사회에서는 그 기질이 결점이며, 체면을 유지하기 위해 원치 않는 행동을 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에 고뇌하고 있다. 토르핀과 에이나르에게는 "일꾼"으로 평가하며, 그들이 자유 신분을 되찾은 후에도 농장에서 일하지 않겠냐고 권유한다. 덴마크 왕 하랄드에게 기증을 하고, 후원자를 얻어 농장의 안전을 지키고 있지만, 그 농장의 경영 방침에 대해 아버지 스베르켈과 다툼이 끊이지 않았다. 하랄드 사후에는 크누트에게 접근하려 하지만, 오르마르의 실책이 원인이 되어 농장이 위기에 빠지고, 실의에 빠져 초췌한 모습으로 농장으로 돌아왔을 때, 아르네이즈가 도망을 시도했다는 것을 듣고 격분하여 아르네이즈를 몽둥이로 때려 버린다. 분노로 이성을 잃은 데다가, 크누트 군이 자신의 수하의 3분의 1인 100명이라고 듣고 얕보다가, 압도적인 병력의 능력 차이 앞에서 수하는 괴멸, 봉공인이나 손님에게도 버림받고, 자신도 전투에서 중상을 입었다. 전쟁 후, 상처는 회복되었지만, 아르네이즈나 부, 명성을 잃은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은거 상태가 되었다.

  • '''에이나르'''

: 케틸 농장에 새로 온 노예이다. 노르드계 잉글랜드인으로, 노르드어와 잉글랜드어에 능통하다. 원래는 농부였기 때문에, 농사일에 밝다. 그 출신 때문에 마을에 약탈을 저지르는 전사들을 증오하고 있다. 농장에 끌려오기 전에도 여러 번 탈출을 시도했고, 그 때마다 벌을 받았지만 그다지 굴하지 않았다. 밝은 성격으로, 별로 대답하지 않는 토르핀에게도 적극적으로 말을 건다. 케틸 농장의 후계 아들이 자신을 죽이려 했을 때, 자신의 몸값을 자청한 토르핀을 몸을 던져 도망치게 하려 했고, 붙잡힌 후에도 토르핀의 신변을 걱정하며 날뛰었다. 토르핀이 전직 전사였다는 것을 알게 되었을 때는 잠시 증오를 품었지만, 죄의식에 매일 밤 시달리는 토르핀을 보고 생각을 고쳐, 친구로서 대하게 된다. 그 후, 토르핀과는 노예 생활에서의 다양한 고난과, 아르네이즈와 가르잘의 도망 사건, 크누트와의 휴전 교섭 등의 수라장을 함께 겪으며, 서로를 형제라고 부르는 존재가 되었다. 천성적인 농민답게, 농업에 대해서는 매우 진지하고 전력으로 임한다. 토르핀과 둘이서 개척한 농지를 봉공인들이 엉망으로 만들었을 때는, 조용히 격노했다. 호의를 품은 아르네이즈에게, 더 이상 불행해지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아르네이즈와 남편 가르잘의 도망을 토르핀과 함께 돕지만, 뱀에 의해 저지당한다. 이 일로, 세상에서 전쟁과 노예를 없애고 싶다는 토르핀의 이상에 강하게 동조하게 된다. 케틸의 폭행으로 아르네이즈가 죽자, 복수심에 휩싸이려 하지만, 토르핀의 마음을 담은 설득을 받아, 아르네이즈의 묘 앞에서, 전쟁도 노예도 없는 새로운 세계를 함께 목표로 할 것을 맹세했다.

  • '''오르마르'''

: 케틸의 아들이다. 차기 당주이지만, 자신을 케틸의 아들로서밖에 취급하지 않는 주변에 싫증을 느끼고 있다. 검으로 이름을 날리고 싶어했지만, 실제로는 그 실력도 배짱도 없어, 크누트에게 케틸 농장 접수의 구실 만들기로 이용당한다. 그 후에는 후회와 자책감에서, 어렴풋이 당주 대리로서의 입장을 자각하고, 전쟁의 구실이 된 자신의 부족함을 인정하면서 항복(케틸 일족의 국외 추방)을 결정한다. 그러나 그 직후, 토르핀의 몸을 던진 평화 교섭을 목격하고, 감사하며 일행을 배웅했다. 전쟁 후에는, 반쯤 은퇴한 케틸을 대신하여 사실상의 당주가 되어, 전사자에게 거액의 배상을 지불한다. 이후에는 스스로 솔선해서 밭일을 하고 있다.

  • '''토르길'''

: 케틸의 장남이다. 크누트의 전 종사로, 덩치가 크고 완력이 세며, 싸움을 좋아하는 전형적인 바이킹 기질의 인물이다. 크누트의 책략을 재빨리 알아차리고, 일부러 오르마르를 부추겨 전투의 구실을 만들었다. 전사로서는 유능하며, 오르마르를 모욕한 전사 수 명을 몰살하고, 자신들을 잡으러 온 병사들도 간단히 죽였다. 옛 상사였던 울프에게서 "좋은 부하였다"라고 칭찬을 받았고, 케틸 농장 침공 때에는, 크누트를 노리고 바다에서 단신으로 쳐들어가, 그 대담함을 크누트에게도 평가받고 있다. 또한, 농장에 전사를 모으는 데 있어서도 한 가지 꾀를 내고 있었고, 뱀으로부터는 "의외로 싸움을 잘한다"라고 평가받았다. 다시, 기습할 기회를 엿보고 있었지만, 크누트 일행이 철수하고 텅 빈 진지에 와서 아연실색하고, 그 결과에 납득하지 못하고 전쟁 후에는 행방을 감췄다.

  • '''파테르'''

: 케틸 농장의 봉공인으로, 케틸 농장의 경리를 담당하고 있지만, 노예 출신이므로, 봉공인들에게 미움을 받고, 눈엣가시로 여겨지고 있다. 율의하고 성실한 성격으로, 노예 신분인 에이나르나 토르핀에게도 공정한 태도를 유지하고, 농장 내에서 사건이 발생했을 때에는, 스스로 철저한 수사를 하여 그들의 궁지를 구원한 적도 있다. 그러나 공정하기 때문에, 가난 때문에 도둑질을 한 아이에게도 엄격한 태도를 취한다. 전쟁에서는 토르핀이나 에이나르에게 그 안위를 걱정받았지만, 확인 가능한 한에서는 왼쪽 팔을 부상당하는 정도로 끝났다.

  • '''아르네이즈'''

: 케틸의 여자 노예로, 케틸에게 마음에 들어 애인으로 보호받고 있지만, 그렇기에 해방되는 것을 포기하고 있다. 케틸의 정실 부인에게는 눈엣가시로 여겨지고, 신랄한 태도를 취하고 있다. 마음씨 착한 성격과 미모를 소유하여, 에이나르에게 첫눈에 반한다. 노예가 되기 전에는 스웨덴의 집락에서 남편 가르잘, 아들 히알티와 함께 살고 있었다. 그러나 원거리의 이탄지를 둘러싼 싸움에서, 남자들이 마을을 비운 틈을 타 적의 습격을 받아 마을은 괴멸, 아르네이즈는 히알티와 헤어져 노예로 팔려, 케틸에게 사들여졌다. 노예이면서 케틸의 시중으로 후하게 대우받고, 그의 아이를 갖는다. 그 후, 다른 농장주의 밑에서 도망쳐 온 가르잘과 재회하여, 스베르켈이나 토르핀 등의 도움을 받아, 둘이서 도피를 시도하지만, 가르잘은 사망하고 자신도 탈주범으로 붙잡혀, 그것을 알고 격분한 케틸에게 몽둥이로 구타당해, 빈사 상태의 중상을 입게 된다. 크누트의 군세에 의해 농장이 전쟁터가 된 틈을 타, 레이프의 도움으로 토르핀이나 에이나르와 함께 농장에서 데리고 나온다. 꿈속에서 가르잘, 히알티와 재회, 일시적으로 의식을 되찾지만, 더 이상 살아갈 기력을 잃었고, 토르핀이나 에이나르의 간절한 외침도 미치지 못하고, 두 사람에게 감사하며 숨을 거두었다.

  • '''스베르켈'''

: 케틸의 아버지이자, 선대 당주이다. 까다로운 인물이지만, 에이나르와 토르핀을 보고 그의 일을 돕는 대신, 두 사람에게 말과 무게 쟁기를 빌려준다. 케틸의 농장 경영 방침을 의심하고 있으며, 그다지 사이가 좋지 않다. 기독교도이지만 글을 읽을 수 없기 때문에 "뱀"에게 성경을 읽어달라고 한다. 토르핀 일행과 함께 아르네이즈와 남편의 도피를 돕는다.

  • '''봉공인들'''

: 자가 소유의 경작지를 갖지 않고, 케틸 농장에서 고용되어 있다. 자신들보다 신분이 낮은 토르핀 등 노예를 괴롭히는 것으로 자존심을 유지하고 있다. 토르핀과 에이나르가 경작한 밭을 망치고, 에이나르에게 따지자 시치미를 떼어 싸움이 벌어진다. 그 후, 케틸에게 두 사람의 처벌을 호소하지만, 파테르에 의해 밭을 망친 증거가 발견되어 불문으로 처리된다. 케틸 농장 침공에서는, 싸움에 동원되지만 대부분이 전사 혹은 도망한다.

  • '''"손님"'''

: 케틸이 고용한 농장의 경비원이다. "뱀"이 말하길, "실수를 저지른 탓에, 본명을 말할 수 없는" 자들이다. 그러므로 구성원은 "뱀" 자신을 포함하여 모두 "여우", "오소리" 등, 동물의 이름을 별명으로 하고 있다.

  • '''"뱀"'''

: "손님"들의 리더이다. 노예들에게 악의적인 손님들을 제재하거나, 토르핀 등 노예들에게도 스스럼없이 대하는 등 공정한 인물이다. 부하의 목숨을 소중히 여기는 한편, 스베르켈과 죽이 잘 맞는 듯하여, 그의 오두막에 자주 드나들고 있다. "손님" 중에서도 실력이 뛰어나, 토르길에게 검을 가르친 것은 그인 듯하다. 교양이 있고, 침대에 누워 지내는 스베르켈에게 성경을 읽어주고 있다. 통찰력도 뛰어나, 토르핀의 전사로서의 성질을 재빨리 간파하고 있었다. 도망 노예 가르잘이 아르네이즈를 데리고 나왔을 때, 다른 "손님"들의 목숨이 손상된 것에 격분하여, 아르네이즈 등을 도우려는 토르핀과 대치한다. 진짜 "철권의 케틸"과 안면이 있으며, 지주 케틸이 그 명성을 겉치레로 이용하고 있다는 것을 간파하고 있었다. 그러나 크누트에 의한 케틸 농장 침공 때에는, 케틸에게 고용된 은혜를 갚기 위해, 승산이 없는 싸움이라고 이해한 위에서, 크누트 군에 대항하기 위해 케틸에게 모인 봉공인들의 지휘를 맡았다. 후에 토르핀 등의 간언에 의해, 크누트가 농장의 접수를 중단한 것에 감사하고, 자신의 진짜 이름 "'''로알드・그림슨'''"(그림의 아들 로알드)을 토르핀 등에게 가르쳤다. 그 후 스베르켈에게 다루어지면서 다른 "손님"들과 함께 농사일을 돕고 있다.

  • '''하랄드'''

: 스벤의 장자이자, 크누트의 형이다. 스벤의 사후, 덴마크 왕위를 잇는다. 잉글랜드를 다스리는 동생 크누트와는 좋은

2. 1. 주요 인물


  • 토르핀

: 이야기의 주인공. 아이슬란드 출신으로, 본명은 토르핀 토르스손이다. 후에 "협기의 토르핀(토르핀 칼세브니)"이라는 별명을 얻는다. 작중 생일은 2월 3일이다.[114]

: 바이킹 집단 수령인 아셰라드에게 아버지를 살해당하고, 그 복수를 위해 원수인 아셰라드 병단에서 소년 시절을 보낸다. 금발에 갈색 눈동자, 긴 머리카락은 항상 부스스하고, 복장에도 신경 쓰지 않는다. 2개의 단검(1개는 아버지의 유품)을 무기로 사용한다. 전장 속에서 자랐기 때문에, 극도로 무뚝뚝하고 과묵했지만, 크누트의 신변 보호를 맡게 되면서부터는, 조금씩이지만 말수가 늘었다. 병단에 있던 시절은, 전투에서 얻는 아셰라드와의 결투 권리와, 어린 시절 레이프에게 들었던 빈란드만이 마음의 의지처이며, 관심사였다.

: 키는 작지만, 매우 민첩하고 튼튼하다. 완력은 강하고, 토르켈을 한 번 몰아붙인 적도 있을 정도지만, 성급한 성격이 화근이 되어 열세에 몰리는 경우도 많다. 특히 아셰라드는 그 버릇과 사고 패턴을 완전히 간파하고 있기 때문에, 전혀 상대가 되지 않았다.

: 아셰라드가 살해당했을 때, 충격으로 잠시 정신을 잃고, 크누트에게 덤벼들어 노예 신분으로 전락하여, 케틸 농장으로 거두어진다. 복수라는 목적을 잃고, 무기력하게 그저 살아가고 있었지만, 에이나르를 만나 농업에 매달리는 생활 속에서 마음의 안정을 되찾는다. 그 한편, 살육 이외에는 아무것도 몰랐던 자신의 반생에 괴로워하며, 매일 밤 악몽에 시달렸다.

: 인생에 대해 사색을 반복하는 가운데 폭력을 혐오하게 되지만, 하인에게 개간한 농지를 망쳐진 사건에서는, 분노에 휩싸여 하인을 때려눕혀 버리고, 그 후 꾼 악몽 속에서 아셰라드와 재회한다. 아셰라드와의 대화 속에서, 자신이 지금까지 살육의 연쇄 속에서 살아왔다는 것, 아직 거기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것을 깨닫고, 이후에는 폭력과의 완전한 결별을 맹세하고, 그리고 많은 사람을 죽인 후회를 짊어지면서 "진정한 전사"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 때문에 자신이 완수해야 할 사명으로, 아득한 바다 건너의 빈란드를 목표로 삼아, 거기에 세상에서 억압받는 사람들을 모아 "'''전쟁도 노예도 없는 평화로운 나라'''"를 만들 것을 결의한다.

  • 아셰라드

: 직업적 바이킹 집단, 아셰라드 병단의 수령. 덴마크 출신.

: 엉뚱한 인물로, 수완은 냉혹무정하다. 항상 앞을 내다보고, 사람의 재능이나 성격을 간파해 조종하는 술수에도 능하다. 토르핀에게는 원수로서 목숨을 노려지면서도, 그를 부하로 부린다. 짧은 머리에 턱수염을 기르고, 항상 로마풍의 판갑의 동요(로리카)를 입고 있다. 또한, 정식적인 자리에서는 토가와 같은 것을 걸친다. 토르핀에게는 "대머리"라고 불린다.

: 데인족 호족의 아버지 월라프와, 웨일스의 전 공주인 어머니 리디아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아. 이름은 아셰라드 월라프손(월라프의 아들 아셰라드)으로 통용되지만, 아셰라드는 "잿더미투성이"라는 의미의 별명이다. 이것은 아버지가 노예에게 낳게 한 그에게 이름을 주지 않았기 때문이다. 서자로 마구간에서 길러지지만, 11살 때 아버지에게 재능을 인정받아 다른 아들과 함께 저택에서 사는 것을 허락받는다. 그 후, 2년 만에 가족 내에서의 지위를 굳히고, 틈을 노려 아버지를 암살하고 어머니의 복수와 재산 획득을 이룬다. 이때 자신의 혐의를 피하기 위해 아버지와 사이가 좋지 않았던 형에게 누명을 씌우는 수법은, 후일 스벤 왕 암살 계획에서도 답습하고 있다. 14살 때 말기 어머니를 데리고 고향 웨일스로 가서, 이때 웨일스의 인맥을 얻는다.

: 어머니는 아서 왕의 모델로 여겨지는 켈트의 장군 알트리우스의 자손으로, 아셰라드는 그의 마지막 후예. 그의 정체성은 데인족이 아닌 모계인 웨일스에 있으며, 데인족의 병단을 이끌면서도 폭력에 따라 약탈을 반복하는 바이킹을 싫어하고, 브리타니아를 멸망시킨 앵글로색슨족에게도 비정하다. 그의 웨일스에 대한 귀속 의식은 맹세의 구호에도 나타나 있으며, 통상의 맹세는 노르드인의 신 오딘에게 맹세하는 한편, 토르핀과의 결투를 받아들일 때나 토르즈와의 약속 등, 진실로 지켜야 할 맹세에서는 알트리우스의 이름에 맹세한다.

: 어린 시절 어머니로부터 "아발론에서 전설의 군주 알트리우스 공이 부활하여, 나라를 구원한다"라는 전설을 듣고 자란 것으로부터, 알트리우스와 같은 위대한 왕이 나타나기를 고대하고 있었다. 병단 괴멸 후 각성한 크누트에게 군주의 자질을 발견하고 충성을 맹세하고, 그를 덴마크 왕으로 만들기 위해 보좌해 나간다. 덴마크 왕 스벤에게 고향 웨일스와 크누트의 목숨을 저울질하도록 강요받았을 때, 그 어느 쪽도 구할 수 있는 선택지로서 자신의 목숨을 바칠 것을 결의하고, 스벤 왕을 살해. 그 때, 덴마크 왕에게 스스로를 브리타니아 왕이라고 칭하고, 어머니에게 주어진 진정한 이름으로 "루키우스 아르토리우스 카스투스"를 칭한다. 크누트에 의해 치명상을 입은 후, 달려온 토르핀에게 "진정한 전사가 되라"고 유언을 남긴다.

: 후에 노예가 된 토르핀의 꿈 속에 나타나, 살육의 연쇄가 아닌, "진정한 싸움"을 싸울 것을 토르핀에게 설득한다.

  • 크누트

: 덴마크 왕 스벤의 차남. 작중 생일은 7월 12일이다.[115]

: 여성을 연상케 하는 아름다운 외모. 어린 시절부터 궁정에서의 정쟁과 아버지로부터의 억압에 시달렸기 때문에, 매우 겁이 많은 성격으로, 측근인 라그나르 외에는 입을 열지 않았지만, 동갑내기인 토르핀의 도발적인 태도에 격앙하여, 처음으로 라그나르 외에 입을 열었다. 요리 등도 취미로 하는 매우 상냥한 성격이지만, 이러한 성격이 된 요인 중 하나는 기독교 신앙에 있다고 스벤 왕에게 평해졌으며, 을 "우리 아버지", "하늘의 아버지"라고 부르며, 친아버지와 겹쳐 절대적인 애정을 품고 있었다.

: 아버지와 함께 잉글랜드 원정에 나섰지만, 런던 포위전에서 공세에 나선 토르켈 군에게 대패, 라그나르, 빌리발드와 함께 토르켈 군의 포로가 되지만, 아셰라드의 계략으로 구출된다.

: 라그나르와의 사별, 빌리발드 수도사와의 문답을 통해, 사랑의 본질과 인간의 불완전함을 이해하고, 스스로 지상에 이상향을 건설하기 위해, 친아버지 스벤 왕의 타도를 맹세한다. 그 후 전장으로 돌아와, 표변한 그 위풍으로 아셰라드와 토르켈 양쪽을 따르게 한다. 그 눈동자는 토르켈이 토르즈의 눈에서 찾아낸 것과 같은 "신기한 빛"을 띠게 된다.

: 왕위 계승의 의지를 굳힌 후에는 냉철한 지도자가 되어, 폭주하는 듯한 토르켈이나 스벤 왕의 중신이었던 플로키, 그 양쪽을 저울질하고 있던 군나르를 훌륭하게 부리고 있다.

: 잉글랜드 왕위에 오른 후에는 풍모도 크게 바뀌어, 긴 머리를 짧게 자르고, 텁수룩한 수염을 기르고 있다. 최근에는 덴마크 군 내에서도 그 실력을 인정받고 있다고 케틸 농장으로 돌아온 토르길이 이야기하고 있다.

: 왕국의 재원 확보를 위해, 올마르의 실책을 구실로 케틸 농장의 접수를 꾀하지만, 토르핀의 설득에 응해 병력을 철수했다.

  • 레이프 (에이리크의 아들, 레이프)

: 대서양을 여행하는 쾌활한 아저씨. 그린란드 출신의 기독교도. 어린 토르핀에게 빈란드의 여행 이야기를 들려준다.

: 의리가 있는 인물로, 토르즈의 은혜에 보답하기 위해서라도 행방불명된 토르핀을 11년 동안 계속 찾고 있었다. 1014년에 요크에서 토르핀과 재회, 함께 돌아가자고 설득하지만, 복수에 불타는 토르핀에게 거절당하고 만다. 그래도 그를 아이슬란드로 데려가는 것을 포기하지 않고, 노예가 된 토르핀을 신원하려고 각지의 노예 시장을 찾아다닌 결과, 케틸을 만나, 케틸의 농장에서 토르핀과의 재회를 이룬다. 그 후 그는 그의 형제가 된 에이나르를 데리고 아이슬란드로 돌아갔다.

: 실존 인물로, 실존 인물인 동시대에 태어난 토르핀과 함께, 유럽인으로서는 처음으로 북아메리카에 도착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 토르즈

: 토르핀의 아버지. 본명은 토르즈 스노레손. 토르핀에게 이상적인 인물로, 강한 영향을 준다. 인덕이 넘치는 성품.

: 아이슬란드로 도망치기 전에는 요옴 전사단의 4명의 대대장 중 한 명으로, "욤의 전귀(트롤)"라고 불린 냉혹한 전사였다. 하지만 장녀 율바의 탄생과 아내 헬가로 인해 전장의 비정함과 무의미함에 염증을 느껴, "진정한 전사"란 무엇인가를 깨닫고, 전사로서의 자신을 포기하기로 결심한다. 987년, 노르웨이 앞바다 요르항가바그 전투에서 익사한 것처럼 위장하여 헬가와 율바와 함께 탈주. 이때 대대장 토르켈에게 발견되지만, 문답 끝에 그를 제압한다. 그 후, 처자를 데리고 덴마크를 탈출하여, 새로 태어난 장남 토르핀과 마을 사람들과 함께 평화로운 생활을 보낸다.

: 그러나 그의 생존은 욤의 수령에게 알려져, 덴마크의 잉글랜드 침공 때문에 마을을 인질로 잡힌 출정 요청에 응하고, 다시 전장으로 향하기로 결심한다. 하지만 전사단 소대장 플로키는 토르즈에게 사적인 원한을 품고 있었고, 몰래 아셰라드 병단에 토르즈의 암살을 의뢰했다. 페로 제도에서 아셰라드 병단의 함정에 빠진 토르즈는 맨손으로 병단을 압도하지만, 그 후 아셰라드와의 결투 끝에, 토르핀 등의 목숨과 맞바꿔 자신의 목숨을 내준다. 그의 고결한 삶과 처절한 죽음은, 토르핀을 복수에 살게 하는 원동력이 된 한편, 아셰라드에게 그에게 이상적인 군주를 발견하게 했다. 또한, 그의 불살의 싸움은, 진정한 사랑을 추구하는 수도사 빌리발드에게 시사점을 주었고, 토르켈은 출타 시 그의 눈에서 "신기한 광채"를 발견했다.

  • 헬가

: 토르핀의 어머니. 욤 전사단의 수령 시구르발디의 딸이자 토르켈의 조카. 싸움을 그만두기로 결심한 토르즈에게 동의하고, 갓난아기 율바를 데리고 아버지 곁을 떠났다. 온화한 성격이지만, 율바의 탄생에 즈음하여, 딸이었음에 실망한 토르즈가 이름을 붙이기를 게을리하려고 하자 격노하여 이름을 짓도록 강요했고, 당황한 토르즈가 잽싸게 자신의 어머니 이름을 붙였다는 에피소드가 있으며, 단 한 번 아내가 화낸 경험으로 나중에 토르즈가 이야기한다.

: 요크에서 토르핀과 재회한 레이프의 이야기에 따르면, 1014년 시점에서 건강이 악화되고 있다.

: 1018년 12월에 토르핀과 재회. 율바와는 달리, 한눈에 토르핀임을 알아보고 따뜻하게 맞이했다. 딸 부부와 손자들에게 둘러싸여 살고 있다.

  • 율바

: 토르즈의 딸이자 토르켈의 종고모, 토르핀의 누나. 어머니를 닮은 미모는 마을 청년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지만, 여성은 통상 참가하지 않는 고래잡이에 참여하여, 제일 먼저 창을 꽂는 등, 남자 못지않은 체력을 가지고 있으며, 성격도 매우 괄괄하다. 또한 금전에 집착하지 않는 아버지와는 달리 현실적인 가치관을 가지고 있다.

: 토르즈의 죽음 이후, 남자의 손을 잃은 가정을 필사적으로 지탱하려고 맹렬하게 일상을 보낸다. 그것은 아버지의 죽음과 소식 불명의 동생에 대해 생활 속에서 의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였지만, "이제 괜찮아"라고 말한 어머니 앞에서 처음으로 통곡했다.

: 그 후, 아레와 결혼, 1018년 시점에서는 4명의 아이(아들 3명, 딸 1명)의 엄마가 되어있다.

: 1018년 12월에 토르핀과 재회. 감격에 눈물을 흘릴 줄 알았지만, 처음에는 가짜라고 생각하고 상대하지 않고, 진짜임이 밝혀져도 연락 하나 없이 집을 비운 동생(그리고 후계자인 장남)을 화가 난 어퍼컷으로 맞이하고, 100번의 구타에도 견딘 토르핀을 한 방에 의식불명으로 만드는 등, 호쾌하고 남자다운 성격은 변함없다.

: 니시모토 히데오의 스핀 오프 작품 『원조 율바 쨩』의 주인공.

  • 하르프단

: 토르핀들의 마을 옆에 있는 마을의 영주. 냉혹할 정도로 규율을 중시하며, 질서는 사람을 쇠사슬로 묶는 것으로부터 생긴다는 신념을 가지고 있다. 철사슬을 무기나 고문 도구로 다루는 데 능숙하며, 법을 경시하는 태도에는 부하에게조차 용서가 없다.

: 묶인 제비갈매기 편에도 등장하며, 나이가 들었지만 그 영향력은 더욱 강해지고 있다.

: 가난한 자작농에게 융자를 해주고, 변제하지 못하면 토지를 몰수하여 소작화시키고, 부를 늘리고 있다. 그러나 그 결과, 부담이 가벼워지고, 이전보다 생활이 편해진 소작농도 많다.

: 빈란드와의 거래 (빈란드의 목재를 그린란드아이슬란드에 가져와 판매)를 위한 중계 기지가 될 레이프의 농장을 측근에게 붙이려고, 아들 시구르드와 구즈리즈를 결혼시키려 한다.

  • 아레

: 토르핀 일가의 이웃이자, 율바를 짝사랑하지만 유년 시절 편에서는 상대받지 못한다. 마을 젊은이들 중에서도 강한 혈기를 가지고, 토르즈가 출정할 때 전쟁에서 한몫 잡으려고 동행했다. 하지만 그 의욕도 진짜 전쟁에서는 통하지 않았고, 토르즈의 죽음에 격앙하여 아셰라드에게 덤벼들었지만, 한 방에 쓰러지고 만다.

: 출정 시에는, 마을의 주근깨 소녀에게 "조심해"라는 말을 듣는 등, 호의를 눈치채지 못했다. 후에 율바와 결혼하여, 1018년 현재 4명의 아이를 둔 아버지가 되었다.

  • 플로키

: 욤 전사단의 소대장. 험악한 인상에 엄격한 군인 기질이지만, 실제로는 질투심 많고 모략가로, 사욕으로 아셰라드에게 토르즈를 암살하게 한다.

: 그 후에도 토르즈 외 유력자를 차례로 암살하여 욤 전사단을 장악한다. 덴마크 왕위 계승 문제에서는 장형 할랄드파로, 크누트 귀환 후에는 왕자를 매장하기 위해 간계를 펼치며 아셰라드와 대립한다. 스벤 왕의 사후, 왕을 대신하여 데인군의 주도권을 얻으려고 했지만 크누트에 의해 허무하게 빼앗긴다.

: 크누트가 왕위에 오른 후에는, 중신으로서 크누트를 보좌하고 있지만, 정확히는 완전히 크누트의 가신이 된 것은 아니다. 플로키의 소속은 어디까지나 욤 전사단이며, 크누트와는 동맹자와 같은 관계에 있다.

: 북해 횡단 편에서는, 손자 발드를 차기 욤 전사단의 수령으로 만들려고 책략을 꾸미고 있었지만, 토르핀이 토르즈의 아들임이 밝혀지자, 차기 수령을 위협하는 존재로서 위험시하고, 말살에 나선다. 그러나, 갈무가 토르켈에게서 가로채는 형태로 바군을 쳐 죽인 것으로 격노한 토르켈과 교전하게 된다. 종반, 문이 파괴된 것으로 욤스보르그를 포기하고 도망치려 했지만, 발드와 헤어진 것으로 탈출에 실패하여 붙잡힌다. 종전 후, 토르핀에 의해 처형은 면했지만 발드와 함께 추방을 선고받자, 모든 것을 권위를 잃은 것으로 일순간 늙어 넋을 잃은 상태가 되고, 발드와 약간의 추종자들과 함께 배로 어딘가로 여행을 떠났다.

  • 비요른

: 아셰라드 병단의 일원. 아셰라드의 두터운 신임을 받는 오른팔로, 십수 년 동안 함께 싸워온 용병단 최고의 고참이지만, 아셰라드의 과거에 관해서는 아무것도 모른다. 살인을 좋아하기 때문에 싸우는, 전사로서의 긍지(프라이드)가 높은 남자. 유사시에는 "광전사의 버섯"이라고 불리는 버섯을 복용하여 이성에서 해방된 광전사가 된다.

: 병단의 반란 때에도 아셰라드에 대한 충의를 지키고, 크누트 왕자를 보호하여 도주. 추격자를 물리치기 위해 광전사화하여 대부분을 살해하지만, 정신을 차렸을 때 허점을 찔려, 아토리에게 옆구리를 찔려 중상을 입는다. 자신의 죽음을 깨달은 그는 존경하는 아셰라드의 손으로 죽는 것을 선택했고, 그가 속으로는 데인인을 혐오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고 있었고, 그와의 우정을 확인하고 나서 죽었다.

  • 토르켈

: 전쟁을 좋아하는 데인인의 무장. 욤 전사단 수령으로 토르핀의 어머니 헬가의 아버지 시구르드의 동생이며, 토르핀의 외삼촌에 해당되는 인물. 매우 거대한 체구를 자랑하며, 욤 전사단뿐만 아니라 덴마크군에서도 최상위 클래스의 귀신. 나이가 50을 넘었음에도 그 거구에서 뿜어져 나오는 괴력은 건재하며, 보통 사람을 아득히 초월하는 힘을 가지고 있다.

: "전사"라는 존재 방식에 대한 자긍심이 강하며, 전투의 여신(발키리)에게 발할라로 인도되기를 바라며, 좋은 싸움을 위해서는 적에게 투항하는 것도 꺼리지 않는다. 반대로, 목숨을 아껴 투항해 온 자는 용서 없이 살육한다. 한편으로는 겉과 속이 없는 쾌활한 성격으로, 부하 전사들과 한 번은 배신했던 덴마크 왕국의 여러 장수들에게서도 매우 강한 인기를 얻고 있다. 개구리를 싫어한다.

: 과거에는 욤 전사단의 4명의 대대장 중 한 명으로, 역시 대대장이자 자신보다 강한 유일한 전사인 토르즈에게 강한 우정과 존경을 품고 있었다. 전사한 줄 알았던 토르즈와 재회하여 기뻐했지만, 그의 탈주 계획을 알고 격분하여 처벌하기 위해 싸움을 걸었지만, 패배하여 탈주를 허용한다. 훗날 "진정한 전사"란 무엇인가를 알게 된 토르즈를 따르지 않은 것을 계속 후회하게 된다.

: 손맛이 있는 싸움을 원하며 데인군에서 잉글랜드 측으로 투항하여 런던의 수장이 되었다. 런던 전투에서 크누트 왕자를 격파한 후, 한때 포로로 잡았던 크누트의 신병을 되찾기 위해 아셰라드 병단을 추적. 아셰라드를 배신하고 투항해 온 전사들을 거의 몰살시켜 병단을 괴멸시켰다.

: 그 후, 아셰라드의 신병을 두고 토르핀과 결투를 벌여 토르핀을 압도하고 궁지에 몰아넣는다. 하지만, 아셰라드의 조언을 받은 토르핀에게 약점인 턱에 일격을 당해 쓰러지고 스스로 패배를 인정한다. 이 결투 때, 왼쪽 눈을 토르핀에게 꿰뚫려 실명한다. 그 후 나타난 크누트의 눈에서 토르즈와 비슷한 신비한 빛을 발견하고, 크누트를 따르기로 결심하고, 데인군에 복귀. 크누트 왕자의 유력한 장수가 된다.

: 그 후, 평정한 영지의 통치를 맡게 되지만, 사소한 싸움조차 일어나지 않을 정도의 평화로움 때문에, 다른 민가의 부부 싸움에 난입하려 할 정도로 싸움에 굶주리게 된다. 싸움을 찾아 크누트 곁을 떠나 플로키의 바군 토벌 요청을 받고 욤 전사단 진영을 방문했을 때 토르핀과 재회하고, 플로키에게 토르핀이 토르즈의 아들임을 밝혔다. 그 후, 바군 토벌에 나서지만, 바군이 잠입해 있던 욤 전사단의 갈무에게 살해된 것을 알고, 먹이를 가로챈 것에 격분한 그는, 바군 대대를 끌어들여 플로키 타도를 목표로 한다. 플로키 측의 설득에 귀 기울이지 않았지만, 원흉인 갈무의 신병을 받자 그의 간청으로 일대일 대결을 벌여 무승부를 기록한다. 그 후, 욤스보르그 공략에서는 초전에서 다량의 통나무를 떨어뜨린 데다 불을 질러 화염에 휩싸여 큰 화상을 입지만 곧 복귀, 문을 부순 후 플로키를 찾지만 유밀이 가로막아 호각으로 싸운 끝에 쓰러뜨린다.

: 종전 후, 일시적으로 수령 자리에 오른 토르핀이 욤 전사단의 해산을 선언했을 때, 토르핀에게 부탁받아 토르켈은 크누트의 밀명이 있었음을 욤 전사단에 밝혀 해산을 강제했다. 그 후, 토르켈은 그 대가로 토르핀에게 결투를 신청했지만, 구즈리즈의 필사적인 중재로 결투를 취소한다.

  • 아스게이트

: 토르켈 군의 부장. 싸움밖에 관심 없는 토르켈을 대신해 토르켈 군의 지시를 내리는 일도 많은 인물.

: 토르핀과의 결투에 훼방을 놓아 토르켈의 분노를 사지만, 목숨을 걸고 토르켈을 간언해 보인다. 그것을 본 아셰라드로부터 그 태도와 담력을 높이 평가받고 있다. 또한, 크누트 진영의 주요 작전 회의에 토르켈이나 아셰라드와 함께 참여하고 있다.

  • 토르그림, 아트리

: 아셰라드 병단의 간부 형제. 토르그림은 덩치가 좋고 거친 성격의 형이고, 아토리는 바이킹답지 않게 다소 소심한 동생.

: 상당히 베테랑이었지만 토르켈 군의 위협 앞에 아셰라드를 버리고, 병단을 선동하여 반란을 일으킨다. 아토리는 도망간 크누트 등을 쫓고, 토르그림은 발목을 잡고 있는 아셰라드와 싸운다. 아토리는 추적 도중 토르핀에게 얼굴을 발로 차여 낙마하여 기절. 정신을 차렸을 때 크누트에 집중하고 있는 비요른을 기습하여 칼로 깊은 상처를 입히지만, 왕으로서 각성한 크누트를 따라 왔던 길을 되돌아간다. 한편, 토르그림은 아셰라드의 다리에 부상을 입혀 붙잡은 곳에 토르켈 군이 도착, 곧 무기를 버리고 항복을 신청하지만, 토르켈은 그것을 허락하지 않고 아셰라드 외에는 모두 몰살당한다. 자신은 토르켈과 대치하지만 그의 무시무시한 위압 앞에 정신이 붕괴되어 멍하니, 아토리가 돌아왔을 때는 그의 일을 알 수 없을 정도로 정신이 유아 퇴행하고 있었다. 그 후, 아토리는 아셰라드로부터 여비를 얻어 토르그림을 데리고 고향으로 돌아간다.

: 북해 횡단 편에서 다시 아토리가 등장해, 가족을 가지고 있었지만 먹고 살기 위해 도둑질을 하고 있었다. 바군의 진영에서 도둑질을 하려다 붙잡혀, 심문받았을 때 플로키의 의뢰로 토르즈를 죽였다는 것을 밝혔다.

: 원작에서는 빌리발드의 사랑에 대해 묻는 장면과 반란 때와 그다지 출번이 많지 않았지만, 애니메이션에서는 대폭 출번이 늘어, 토르즈 암살 때부터 등장하고 있다. 당시 토르그림의 머리는 단발이었다.

  • 라그나르

: 크누트의 충신이자 교육 담당. 기독교도로 뾰족머리가 특징. 권력 투쟁이 반복되는 예링의 왕궁에서 병약한 크누트를 지켜왔다. 크누트가 토르핀과 언쟁하기 전까지는 그의 유일한 대화 상대였다.

: 크누트의 "왕으로서의 성장"을 촉구하기 위해, 아셰라드의 책략으로 살해당한다. 그 후, 크누트의 꿈에 나타나 "왕으로서의 깨달음"을 고하고 사라졌다.

  • 빌리발드

: 크누트 왕자의 교사를 맡고 있는, 기독교수도사.

: 부스스하게 자란 머리카락과 수염 때문에 나이가 들어 보이지만, 사실은 23세의 청년. 몸단장을 하면 나이에 맞는 얼굴이 된다. 극도의 알코올 의존증으로, 술자리에서는 술의 신 에기르의 환생이라고 불릴 정도의 주호(酒豪) 기질을 보여주었다.

: 초라한 모습과 기이한 언행 때문에 주변으로부터 얕잡아 보이지만, 스스로의 신앙 안에서 열렬하게 "사랑"이란 무엇인가를 항상 추구하고 있다. 그 너무나 진지한 추구로 인해 그 결론은 난해한 것이 되었고, 아셰라드의 부하들과 토르켈 군의 전사들에게 거의 이해되지 않았다. 아셰라드 병단의 고참으로부터 토르즈의 "진정한 전사에게 칼은 필요 없다"라는 말을 듣고, 거기에서 힌트를 얻는다. 그 후, 라그나르를 잃은 크누트에게 "사랑"의 본질이 무엇인가를 가르치고, 그를 왕으로 이끈다.

  • 스벤

: 덴마크 왕. 크누트의 아버지. 잉글랜드 원정을 주도하고, 데인인 지배 지역(데인로)에 체류하여 요크를 거점으로 정비한다. 한때 왕국을 걱정하여 아버지로부터 왕위를 찬탈했지만, 자신도 왕위가 가져다주는 권력의 유지와 확대의 욕구에 사로잡힌다.

: 왕위 계승과 관련하여, 두 아들에 의한 가신들 간의 내란과 그에 따른 국력 약화를 우려하여, 맏형 하랄드보다 빈약한 차남 크누트를 잉글랜드에서 전사시키려 꾀한다. 그러나, 뜻대로 되지 않고 크누트가 고난을 극복했기 때문에, 그에게 변두리인 콘월을 주어 회유를 시도하지만, 크누트의 심복 아셰라드에게 오히려 역으로 당하고 만다. 하지만, 아셰라드의 웨일스에 대한 집착을 재빨리 알아차리고, 요크의 연회 석상에서, 그에게 웨일스 아니면 크누트 중 선택을 강요하지만, 자신의 목숨과 맞바꿔 둘 다를 구하는 선택을 한 아셰라드에게 목이 잘려 사망한다.

: 사후, 생목의 모습으로 크누트 앞에 자주 나타나, 자신과 같은 길을 걷는 크누트를 비꼰다.

  • 군나르

: 라그나르의 동생. 풍모는 똑같지만, 형보다 호리호리하다. 라그나르의 명령을 받아 크누트의 망명처를 확보하고 있었지만, 크누트는 스벤 왕과 대치하는 길을 선택했기에 망명을 거절한다.

: 형 라그나르와 함께 크누트 측으로 일했지만, 형의 죽음을 들은 후, 스벤 왕 측의 간첩을 맡는다. 그 행동은 아셰라드에게 간파당했지만, 일부러 내버려 두었다.

: 크누트가 잉글랜드 왕위에 오른 후에는, 플로키와 함께 중신으로서 크누트를 지탱하고 있다.

  • 케틸

: 토르핀을 노예로 산 데인인 지주.

: 옛날에는 그 용맹한 싸움 솜씨 때문에 "철권의 케틸"이라는 이명을 얻은 전사였다는 일화가 젊은 전사들 사이에서 알려져 있지만, 사실은 "철권의 케틸"은 동명의 다른 인물이며, 주변의 오해를 부정하지 않고 이용하고 있을 뿐이다. 이 사실을 알고 있는 것은 진짜 "철권의 케틸"과 안면이 있는 "뱀", 비밀을 털어놓은 아르네이즈뿐이다.

: 스스로 솔선해서 농장에서 일하는 근면한 인물. 에이나르나 토르핀에게 자유 신분을 사기 위한 방책을 주거나, 자신의 농장에 도둑질을 하러 들어온 어린 남매의 딱한 사정에 동정하여 눈물을 글썽이는 등, 온화하고 상냥한 성격의 소유자. 그러나 강함을 최우선으로 하는 데인인 사회에서는 그 기질이 결점이며, 체면을 유지하기 위해 원치 않는 행동을 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에 고뇌하고 있다.

: 토르핀과 에이나르에게는 "일꾼"으로 평가하며, 그들이 자유 신분을 되찾은 후에도 농장에서 일하지 않겠냐고 권유한다.

: 덴마크 왕 하랄드에게 기증을 하고, 후원자를 얻어 농장의 안전을 지키고 있지만, 그 농장의 경영 방침에 대해 아버지 스베르켈과 다툼이 끊이지 않았다. 하랄드 사후에는 크누트에게 접근하려 하지만, 오르마르의 실책이 원인이 되어 농장이 위기에 빠지고, 실의에 빠져 초췌한 모습으로 농장으로 돌아왔을 때, 아르네이즈가 도망을 시도했다는 것을 듣고 격분하여 아르네이즈를 몽둥이로 때려 버린다. 분노로 이성을 잃은 데다가, 크누트 군이 자신의 수하의 3분의 1인 100명이라고 듣고 얕보다가, 압도적인 병력의 능력 차이 앞에서 수하는 괴멸, 봉공인이나 손님에게도 버림받고, 자신도 전투에서 중상을 입었다.

: 전쟁 후, 상처는 회복되었지만, 아르네이즈나 부, 명성을 잃은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은거 상태가 되었다.

  • 에이나르

: 성우 - 타케우치 슌스케

: 케틸 농장에 새로 온 노예. 노르드계 잉글랜드인으로, 노르드어와 잉글랜드어에 능통하다. 원래는 농부였기 때문에, 농사일에 밝다. 그 출신 때문에 마을에 약탈을 저지르는 전사들을 증오하고 있다. 농장에 끌려오기 전에도 여러 번 탈출을 시도했고, 그 때마다 벌을 받았지만 그다지 굴하지 않았다.

: 밝은 성격으로, 별로 대답하지 않는 토르핀에게도 적극적으로 말을 건다. 또한, 케틸 농장의 후계 아들이 자신을 죽이려 했을 때, 자신의 몸값을 자청한 토르핀을, 몸

2. 2. 브리튼 편

''빈란드 사가''는 초기에 대부분 1013년 잉글랜드에서 시작되며, 이는 덴마크 왕 스벤 포크비어드에 의해 정복된 시기이다. 스벤 왕이 죽음에 가까워지자 그의 아들인 하랄드 왕자와 크누트 왕자는 왕위 계승을 놓고 다툰다. 이 이야기는 ''플라테이 섬 책'', ''그린란드인의 사가'', ''붉은 에리크의 사가''와 같은 당시의 역사적 기록에서 요소를 가져왔다.[5][6]

2. 3. 묶인 제비갈매기 편

구즈리즈는 그린란드에서 시구르드에게 시집온 19세 여성이다. 생일은 11월 5일이다.[118] 레이프의 남동생 솔바르드의 미망인이며, 레이프에게는 의붓 여동생에 해당한다. 어릴 적 레이프에게서 "세계"에 대한 이야기를 들은 이후 뱃사람이 되어 바깥세상의 모험을 떠나기를 원했지만, 여성이라는 이유로 이루지 못하고 있다. 밝고 자유분방한 성격으로, 집안일은 서툴지만 남자 못지않은 체력을 가지고 있다. 레이프 일행에게는 "구즈리"라고 불린다.

시구르드는 하프단의 아들이다. 생일은 6월 10일이다.[119] 용모는 유년 시절의 아버지와 똑같다. 아버지처럼 두려움을 받는 남자를 목표로 하지만, 동료들에게는 "시구 형"이라고 불리며 친근하게 대한다. 레이프 일행이 구즈리즈를 납치하려 한다고 오해하고 쇠사슬로 공격하지만, 오해였다는 것을 알고 사과하는 솔직함을 가지고 있다. 또한 구즈리즈가 자신을 찌르고 도망갔을 때에도, 혹한 속에서 그녀가 얼어붙을까 봐 가장 먼저 걱정하는 등, 본성은 상냥한 성격이다. 토르켈을 매우 존경하고 있다. 레이프 일행을 쫓았지만 도중에 놓쳐 버리고, 바군 대대에 붙잡혀 노예로 팔려간다. 그 후 토르켈 군에게 사들여져 허드렛일을 강요받고 반발하지만, 토르켈로부터 격려를 받자 일에 매진하게 된다.

하틀게르드는 시구르드의 아내이자 두 번째 부인이다. 트윈테일이 특징인 미인으로 시구르드와는 소꿉친구 사이이기도 하다. 어린 시절에는 남자 같은 옷을 입고 다니며 시구르드를 단련시켰다.

2. 4. 북해 횡단 편


  • '''칼리'''

: 불에 탄 마을에서 유일하게 살아남은 아기. 토르핀 일행이 양부모를 찾지만, 헤어지는 것을 슬퍼하는 울음소리에 구즈리즈가 마음이 약해져 계속 함께 다닌다. 결국 토르핀과 구즈리즈의 의붓아들이 된다.

  • '''힐드'''

: 사냥을 생업으로 하는 여성으로, 11월 23일생이다.[120] 천재적인 공학 기술을 가지고 있어, 8년 전에는 뛰어난 목수로서 물레방아를 이용한 자동 톱이나 베어링과 비슷한 것을 만들 정도였다. 그러나 아셰라드 병단의 습격으로 아버지를 잃고 얼굴에 큰 부상을 입지만, 사냥꾼 노인에게 구조되어 사냥꾼 기술을 배운다. 또한 목수 기술을 살려 쇠뇌의 약점인 연사 속도를 개선한 개량형 쇠뇌를 만든다. 이후 우연히 토르핀과 재회하여 일기토를 신청, 복수 직전까지 가지만 아버지와 스승의 환영을 보고 단념한다. 토르핀이 "빈란드에 평화로운 나라를 만들 수 있을지" 감시한다는 명목으로 동행한다.

  • '''바군'''

: 요름 전사단 대대장으로, 군단 내에서 플로키와 정치적으로 대립한다. 토르즈의 원수를 갚는다는 명분으로 토르핀을 자기 군영으로 데려오려 한다. 모략가인 플로키와 달리 무투파이며 호탕한 인물이지만, 플로키의 의뢰를 받은 토르켈 군 습격 때 잠복해 있던 가름 일행에게 살해당한다.

  • '''가름'''

: 플로키에게 고용된 전사. 엉뚱하고 가벼운 분위기의 미남이지만, 강자와의 전투를 통해서만 살아있음을 느끼는 전투광이다. 어릴 적부터 남다른 기질을 보였으며, 자신을 괴롭히던 사람들을 죽이고, 자신을 죽이려던 어른들까지 죽였다. 기믹이 장착된 창을 다루는 솜씨가 뛰어나 바군을 쉽게 죽이고 토르핀에게도 상처를 입힐 정도. 관찰력도 뛰어나 멀리서 숨어있던 자객을 간파하기도 한다. 바군을 죽여 토르켈과 적대하게 되고 플로키에게 붙잡혀 토르켈 군에 넘겨진다. 토르켈과 일기토를 벌여 무승부로 끝난 후, 토르켈에게 감사를 표하고 토르핀과의 재대결을 위해 떠난다. 이후 토르핀과 재대결하지만 패배하고, 토르핀을 인정하며 다시 대결할 것을 선언하고 떠난다.

  • '''발드르'''

: 선대 요름 전사단 수장의 아들이자 플로키의 손자. 싸움을 싫어하는 순박한 소년이지만, 플로키는 그를 차기 요름 전사단 수장으로 만들기 위해 계략을 꾸민다. 토르핀과는 사촌 관계로, 토르핀이 요름 전사단의 수장이 되기를 바란다.

  • '''유밀'''

: 플로키의 비장의 카드인 원숭이 같은 거한. 토르켈에게 뒤지지 않는 괴력을 지녔으며, 플로키를 아빠라고 부른다. 토르켈과의 격투 끝에 쓰러지지만, 실력을 인정받아 토르켈에게 거두어진다.

3. 줄거리

아이슬란드의 탐험가이자 여러 차례에 걸쳐 빈란드 이주 계획을 이끌었던 실존인물 토르핀 카를세프니의 모험을 바탕으로, 당시의 굵직한 역사적 사건들을 작가의 상상력으로 엮어낸 이야기이다. 유년기와 청년기 내내 끊이지 않는 전란을 겪은 주인공 토르핀이 어떤 과정을 거쳐 신세계로 떠나게 될 것인지가 앞으로 다루어질 내용이다.

작품은 2009년 제13회 일본 문화청 미디어 예술제 만화 부문 대상, 2012년 제36회 코단샤 만화상 일반 부문을 수상하며 높은 평가를 받았다. 1권만 약 120만을 판매했고, 이후에도 계속 상위 판매 순위에 올랐다.

만화는 ''에이리크의 사가''와 ''그린란드의 사가''의 영향을 받았지만, 작가 유키무라는 방대한 분량 때문에 자료를 전부 읽는 데 어려움을 느꼈다. 유키무라는 그림 소재에 대한 영감을 얻기 위해 캐나다를 방문하기도 했다.[28] 그는 어릴 적 보았던 바이킹 애니메이션에 영감을 받아 바이킹 문화에 매료되었고, 그들의 삶의 방식에서 새로운 점들을 발견했다. 예를 들어, 만취 상태에서 살인을 저지르면 형량이 줄거나 석방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유키무라는 바이킹 연구를 위해 2003년 스칸디나비아를 방문했으나, 노르웨이어를 전혀 하지 못하고 영어도 조금밖에 하지 못해 언어 장벽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그는 오세베르그 배를 가장 아름다운 배라고 언급했다. 유키무라는 바이킹을 사무라이보다는 왜구에 비유하며, 그들의 감정 표현이 더 자유롭고 솔직하다고 생각했다.[29] 그는 연구를 위해 덴마크, 아이슬란드, 프랑스, 영국, 캐나다를 방문했고, 실물 크기 모형을 만들어 현실감을 높이려 노력했지만, 모형 제작은 그의 시간 일정에 많은 압박을 주었다.[30]

아셰라드 일행이 시리즈 초반에 사용한 오세베르그 배의 예


바이킹은 영웅으로 알려져 있지만, 유키무라는 그 시대의 혹독한 현실을 보여주고 싶었다. 그는 토르핀이 첫 번째 이야기에서 항상 심각한 표정을 짓도록 그렸고, 다음 이야기에서는 죄를 뉘우치도록 묘사했다. 반면, 토르켈은 더 코믹하게 묘사되어 전투 장면을 그리는 것이 더 즐거웠다. 유키무라는 편집자들로부터 카누테에게 수염을 그리지 말라는 요청을 받았지만, 그 시대 모든 남자가 수염을 길렀다고 주장하며 거부했다. 토르핀은 두 번째 이야기에서 어른이 되지만, 강해 보이지 않도록 수염을 깎았다.[31]

유키무라는 책을 통해 실존 인물 토르핀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역사적 정보가 부족했기에, 그는 창작의 자유를 갖고 토르핀을 주인공으로 만들었다.[32] 아셰라드와의 관계를 통해 토르핀의 성장이 잘 표현되었고, 아셰라드의 캐릭터는 여러 면모를 드러내며 모호해졌다고 말했다.[33] 유키무라는 등장인물 대부분이 토르핀이 의지하는 사람들이며, 멘토이자 적대자인 아셰라드는 예외라고 언급했다. 시리즈의 주요 주제는 양육이며, 아셰라드가 어린 토르핀을 이끄는 것에서 나타난다. 또 다른 복잡한 관계는 에이나르와 토르핀의 관계이며, 이들은 서로에게 도움을 줄 수 없다. 유키무라가 다루는 주제 중 하나는 복수가 다른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이다.[34] 카누테는 토르핀의 반대 인물로 창조되었고, 사람이 다른 가치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104]

마지막 아크에 대한 연구는 미크마크족에 대해 이루어졌다.


여러 등장인물은 실존 인물을 바탕으로 한다. 레이프 에릭손은 유명한 노르드인이지만, 유키무라는 그가 전사로서 약한 성격을 가졌을 것이라 상상하고, 강한 모험가로 만들었다. 유키무라는 시리즈에 남성 캐릭터가 두드러지게 등장하고 여성 캐릭터는 비중이 적다는 것을 발견했다. 예외 중 하나는 구리드 토르비아르나르도티르를 모델로 한 구드리드로, 실제 토르핀의 삶에 큰 영향을 미쳤고, 유키무라는 그 사건에 충실하려 노력했다. 복수심에 불타는 사냥꾼 힐드는 토르핀에게 바이킹으로서의 죄를 상기시키는데, 이는 토르핀이 아셰라드에게 복수를 추구했던 시리즈 초반과 같다.[34]

빈란드를 배경으로 하는 마지막 아크는 미크마크족을 다룬다. 미크마크족 등장인물과 문화 묘사는 미크마크 키나마트뉴에이의 베벌리 제도어와 욜란다 데니의 지도를 받았다. 미크마크어 사용은 언어학자 버니 프랜시스의 도움을 받았는데, 그는 미크마크 그랜드 카운슬의 공식 정서법인 프랜시스-스미스 정서법을 만드는 데 기여했다.[35] 토르핀이 만나는 인물들은 민담 "무윈스크"("작은 곰")에서 영감을 받았다. 유키무라는 주인공이 자연과 공존하는 방식이 마음에 들었지만, 실제 토르핀은 빈란드에서 비극적 운명을 맞이했다.[28] 유키무라는 이 아크를 어떻게 희망적으로 만들지, 그리고 픽션 속 토르핀을 살려 역사에 충실할지 고민했다.[36]

작품 내에서는 명확한 장 구분이 없지만, 구성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3. 1. 성인 이전

''빈란드 사가''는 10세기 말에서 11세기 초, 아이슬란드의 탐험가 토르핀 카를세프니의 모험을 바탕으로 한 이야기이다. 작가는 역사적 사실에 상상력을 더해, 주인공 토르핀이 신세계로 떠나게 될 여정을 그려낼 것으로 보인다. 이 작품은 일본 문화청 미디어 예술제 만화 부문 대상(2009년)과 코단샤 만화상 일반 부문(2012년)을 수상하며 높은 평가를 받았다.[5][6]

이야기는 1013년 덴마크의 스벤 1세가 잉글랜드를 정복한 시점에서 시작된다. 스벤 왕이 죽음을 앞두자, 그의 아들 하랄 2세와 크누트 대왕이 왕위 계승을 두고 다툰다. 이 이야기는 ''플라테이 섬 책'', ''그린란드인 사가'', ''붉은 에리크의 사가''와 같은 역사적 기록에서 영감을 얻었다.[5][6]

3. 1. 1. 프롤로그 (제1화 - 제2화)

11세기서유럽프랑크 왕국 영토. 이 시대 유럽의 바다와 강에 출몰하여 무서운 속도로 습격과 약탈을 반복하는 북쪽의 야만족 바이킹은 사람들의 공포의 대상이었다. 그 날도 어떤 바이킹 집단이 프랑크 영주들 간의 작은 싸움에 편승하여 포위된 도시를 순식간에 함락시키고, 비축된 재화를 남김없이 빼앗아 갔다. 이 약탈은 '''아셰라드'''라는 남자가 지휘하는 병단의 소행으로, 그 안에는 두 자루의 단검을 무기로 사용하는 솜씨 좋은 소년이 있었다. 그의 이름은 토르핀이었다. 이번 습격에서 적 지휘관의 목을 베는 전공을 세운 그는, 그 대가로 아셰라드에게 그와의 결투를 요구한다.

3. 1. 2. 유년기 (제2화 - 제16화)

1002년 아이슬란드, 스칸디나비아반도에서 이주해 온 소년 '''토르핀'''은 아버지 '''토르즈''', 어머니 '''헬가''', 누나 '''유르바'''와 함께 살고 있었다. 토르핀은 아버지의 친구 '''레이프'''에게서 "빈란드" 이야기를 들으며 동경한다.

어느 날, 욤 전사단의 '''플로키'''가 나타난다. 토르즈는 과거 "전귀(트롤)"이라 불리던 욤 전사단의 대대장이었으나, 수령 시그발디의 딸 헬가와 함께 사라졌었다. 플로키는 토르즈에게 잉글랜드와의 싸움에 참전하라는 명령을 전한다. 섬 주민들이 인질로 잡혀 토르즈는 레이프와 함께 페로 제도로 향하고, 토르핀은 몰래 따라나선다.

페로 제도에서 일행은 플로키에게 돈을 받은 아셰라드 병단의 함정에 빠진다. 토르즈는 "진정한 전사"가 되기 위해 불살의 맹세를 지키며 싸우다 아셰라드에게 지지만, 토르핀이 인질로 잡힌다. 토르즈는 일행의 안전을 조건으로 아셰라드에게 살해당한다. 아셰라드는 약속대로 레이프 일행을 놓아주지만, 토르핀은 복수를 위해 아셰라드 병단에 합류한다.

3. 1. 3. 브리튼 편 (제17화 - 제54화)

11세기 덴마크 왕의 잉글랜드 정복 사업은 스벤 시대에 절정에 달했다. 아셰라드 병단은 이 원정에 참가하여 1013년 런던 공략에 착수했다. 당시 런던을 지키고 있던 것은 '''토르켈'''이라는 거구의 데인인이었다. 토르핀은 아셰라드의 명으로 토르켈과 대치하여 선전했지만 압도적인 체격 차이를 극복하지 못하고 간신히 탈출에 성공한다.[7]

덴마크 왕은 단기적인 런던 함락은 어렵다고 판단하여 4000명의 군세를 남겨두고 본군을 이동, 어린 왕자 크누트를 포위 장군으로 임명한다. 그러나 이후 토르켈이 공세로 전환하여 포위 부대를 격파하고 왕자와 호위인 '''라그나르''', 신부 '''빌리발드'''를 포로로 잡는다. 이 상황을 본 아셰라드는 단독으로 크누트 왕자 구출을 결의, Marlborough, Wiltshire|말버러영어 근교에서 데인군 부대와 교전 중인 토르켈군에 화계를 사용하여 기습, 왕자들을 탈취한다. 아셰라드는 크누트 왕자를 옹립하여 자신의 야망을 이루기 위한 발판으로 삼으려 했다.

아셰라드 병단은 토르켈군을 피해 웨일스를 북상하여 데인로로 돌아가려 한다. 그러나 혹독한 추위로 인해 남쪽 머시아로 방향을 바꿀 수밖에 없었고, 숙영지의 실수로 잉글랜드군에게 발각된다. 이 상황에서 아셰라드는 크누트를 왕으로 만들기 위해 라그나르를 암살한다. 보호자였던 라그나르를 잃은 크누트는 혼란에 빠진다.

토르켈군이 접근하자 병단은 동요하고, 대부분이 토르켈군에 합류하기 위해 반란을 일으킨다. 아셰라드는 부관 비요른과 토르핀에게 크누트 호위를 맡기고 썰매로 도망치게 하고, 배신자들과 교전하는 중 토르켈군이 도착한다. 토르켈은 반란군의 항복을 받아들이지 않고 몰살시킨다.

크누트는 라그나르의 영혼과의 대화를 통해 자신이 가야 할 길을 찾는다. 한편, 아셰라드의 위기를 감지한 토르핀은 전장으로 돌아와 토르켈과 다시 대결한다. 아셰라드의 협력을 얻어 토르켈을 궁지에 몰아넣지만, 이전과는 달리 왕자의 풍모를 갖춘 크누트가 나타나 결투를 중단시키고, 나아가 토르켈군을 자신의 편으로 끌어들인다. 아셰라드와 토르켈이라는 강력한 부하를 얻은 크누트는 아버지 스벤 왕과의 대결을 결심한다. 1014년, 데인군의 본거지 Gainsborough, Lincolnshire|게인즈버러영어에서 '''스벤 왕'''에게 알현한다.

크누트는 왕과의 알현을 성공시키고 파벌을 확립했지만, 왕은 아셰라드의 약점을 찔러 크누트와 둘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강요한다. 궁지에 몰린 아셰라드는 왕을 살해하고, 크누트는 아셰라드를 처형함과 동시에 왕의 대리임을 선언, 잉글랜드의 실질적인 패권을 쥐게 된다. 그러나 아셰라드에게 복수하는 것만을 위해 살아온 토르핀은 그 목적을 잃고 착란 상태에 빠진다.[8][9]

3. 2. 성인 이후

성인 이후 토르핀의 이야기는 10세기에서 11세기에 걸쳐 아이슬란드의 탐험가이자 빈란드 이주 계획의 통솔자였던 실존인물 토르핀 카를세프니의 모험을 바탕으로 한다. 작가는 여기에 상상력을 더해 당시의 굵직한 역사적 사건들을 엮어냈다. 유년기와 청년기 동안 끊이지 않는 전란을 겪은 토르핀이 어떤 과정을 거쳐 신세계로 떠나게 될지가 앞으로 다루어질 내용이다.

이 작품은 2009년 제13회 일본 문화청 미디어 예술제 만화 부문 대상, 2012년 제36회 코단샤 만화상 일반 부문을 수상하는 등 높은 평가를 받았다. 1권만 약 120만 부가 팔렸고, 이후의 권수도 계속해서 상위 판매 랭킹에 올랐다.

3. 2. 1. 노예 편 (제55화 - 제99화)

1015년, 토르핀은 노예 신분으로 전락하여 덴마크 윌란 반도에 광대한 토지를 소유한 '''케틸'''에게 팔려, 산림 개간을 명령받는다. 그는 그곳에서 마찬가지로 노예로 팔려온 전직 농민 청년 '''에이나르'''를 만난다.[10] 경호원이나 하인에게 괴롭힘을 당하면서도, 전직 노예 하인 '''파테르'''와 케틸의 아버지 '''스베르켈'''의 도움을 받아, 두 사람은 묵묵히 개간 작업을 계속한다.[11]

한편, 1016년 잉글랜드 왕을 암살하고 잉글랜드의 단독 왕이 된 크누트1018년에는 덴마크를 다스리던 형 하랄드마저 독살하고 덴마크와 잉글랜드 양국의 왕이 되었다. 잉글랜드에서는 데인인 주둔군의 유지비가 문제였고, 잉글랜드 국민의 반감을 사지 않도록 세율을 올리지 않고 유지비를 마련하기 위해, 크누트는 농장주의 차남 '''오르마르'''를 이용하여 덴마크 유수의 생산량을 자랑하는 케틸의 농장을 접수하려 한다.

케틸은 부를 빼앗길 것을 두려워하여 사람들을 모아 크누트 군에게 저항하지만 역부족이었고, 농장은 참극의 장이 되었다. 토르핀은 농장의 참상을 보다 못해 특사로서 크누트를 알현하려 한다. 크누트는 처음에는 무시하려 했지만, 토르핀은 100번의 매질을 견뎌냄으로써 한때 크누트의 근위병을 지냈을 정도의 강함을 증명하고 알현에 성공한다. 수년의 세월이 흘러 재회한 두 사람은 각기 다른 방법으로 이상을 추구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 토르핀의 "빈란드"에 대한 마음을 들은 크누트는 접수를 중단하고 병력을 물린다.

3. 2. 2. 묶인 제비갈매기 편 (제100화 - 제109화)

토르핀은 빈란드 정착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이웃 마을의 촌장 '''하프단'''을 방문하지만, 젊은 여성 구즈리즈의 밀항 소동에 휘말린다. 구즈리즈는 레이프의 어린 의붓 여동생으로, 마을에서는 하프단의 아들 '''시구르드'''와의 결혼식 준비가 진행 중이었다.[1] 토르핀은 하프단과의 교섭에 들어가지만, 계획만 있고 담보가 없어 융자를 거절당한다. 그러나 그리스까지 가져가면 같은 무게의 황금과 교환할 수 있다는 일각돌고래의 뿔을 양도받아 레이프와 함께 그리스로 여행을 떠나게 된다.[1]

한편, 시구르드와 결혼식을 치른 구즈리즈는 첫날밤에 발작적으로 시구르드의 허벅지를 찌르고 도망쳐 토르핀과 함께 여행을 떠나게 된다.[1] 굴욕감에 휩싸인 시구르드는 일족의 명예를 되찾기 위해 구즈리즈를 되찾을 때까지 고향으로 돌아가지 않겠다고 선언하며 토르핀 일행을 쫓는다.[1]

3. 2. 3. 북해 횡단 편 (제110화 - 제166화)

셰틀랜드 제도에서 토르핀 일행은 불타버린 마을을 발견하고, 빈사 상태의 어머니와 갓난아기, 그리고 부상당한 개 한 마리만 겨우 살아남은 것을 발견한다. 어머니는 아기를 토르핀에게 맡기고 숨을 거두고, 토르핀은 갓난아기 '''카를리'''와 개를 배에 태우고 양부모를 찾기 시작한다.

스칸디나비아반도에 들른 일행은 겨울잠을 자지 못한 곰에게 습격당하지만, 사냥꾼 여성 '''힐드'''의 도움을 받는다. 사실 힐드는 8년 전, 아셰라드 일행에게 마을을 습격당해 아버지를 잃었는데, 힐드의 아버지를 죽인 범인이 바로 소년 시절의 토르핀이었다. 격렬한 전투 끝에, 토르핀의 "다투지 않고 평화로운 나라를 만들겠다"는 속죄를 이룰 수 있는지 감시하겠다고 말하며, 힐드는 행동을 함께하게 된다.

그 무렵, 욤 전사단에서는 선대 수령이 급사하여, 공석이 된 "수령의 자리"를 놓고 내부 분열이 일어나고 있었다. 플로키는 차기 수령을 손자 '''발드르'''에게 잇게 하려고 했지만, 적대하는 바군 토벌에 초대한 토르켈로부터 토르핀이 "토르즈의 아들"이라는 것을 알고, 차기 수령 자리를 위협한다고 판단한 플로키는, 토르핀 암살에 나선다. 한편, 바군의 진영에 초대된 토르핀도 "토르즈를 암살한 배후"가 플로키였다는 것을 알고, 격렬한 분노에 사로잡힌다.

그러던 중, '''갈름'''에 의해 바군이 살해당했다는 것을 알게 된 토르켈은, 사냥감을 가로챈 것에 격노하여 바군 대대를 흡수하여 플로키의 진영에 접근하고 있었다.

3. 2. 4. 빈란드 건국 편 (제167화 - )

2년 후, 토르핀 일행은 그리스에서 일각고래 뿔을 팔아 얻은 재산을 가지고 아이슬란드로 돌아온다. 토르핀과 구드리드는 결혼하여 카를리를 양아들로 키운다.[18] 하프단이 약속한 자원을 바탕으로 토르핀은 빈란드에 정착할 선원을 모으기 시작한다. 토르핀은 숲의 일부를 개간하고 밀을 성공적으로 재배하여 더 이상 무기가 필요 없는 평화로운 안식처를 만든다. 또한, 그와 그의 동료들은 평화로운 정착민으로 여기게 된 원주민 미크마크 족과 평화로운 관계를 맺을 수 있었다.[19]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자원과 정착민들이 가져온 질병에 대한 긴장이 정착민과 원주민 사이에 갈등을 촉발한다. 두 세력 간의 전쟁에 대한 두려움이 고조되면서 토르핀은 평화를 지키기 위해 빈란드를 떠날 가능성을 고려하기 시작한다.[20]

4. 주제

이 작품은 10세기에서 11세기에 걸쳐 아이슬란드의 탐험가이자 빈란드 이주 계획의 통솔자였던 실존 인물 토르핀 카를세프니의 모험을 모티브로 한다. 작가는 여기에 상상력을 더해 당시의 굵직한 역사적 사건들을 엮어냈다. 유년기와 청년기 내내 전란의 소용돌이 속에 있었던 주인공 토르핀이 어떤 경위를 거쳐 신세계로 떠나게 될 것인지를 다룰 것으로 보인다.[37]

작품에 대한 평가는 높아, 2009년 제13회 일본 문화청 미디어 예술제 만화 부문 대상, 2012년 제36회 코단샤 만화상 일반 부문을 수상했다. 1권만 약 120만 권이 팔렸고, 이후의 권수도 상위 판매 랭킹에 계속 올랐다.

작가는 2008년 1월 인터뷰에서 어렸을 때 만화 《북두의 권》을 읽고 만화 업계에 입문하게 되었으며, 항상 "강함과 정의"라는 동일한 주제를 반영하는 시리즈를 제작하고 싶었다고 밝혔다.[37] 또한, 사람들이 번영하는 삶을 살기 위해서는 이상을 가져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싶다고 덧붙였다.[40]

작가는 바이킹들이 일으키는 폭력의 정도가 두드러지지만, 폭력이라는 개념을 싫어한다고 말했다. 바이킹들은 강함으로 존경받고 영웅적인 인정을 받았지만, 동료에게 배신당하는 사람들로도 묘사된다.[40] 작가는 폭력적인 이야기를 다룬 후 치유와 용서에 집중하고 싶어한다.[104] 냉전과 9.11 테러 이후 작가의 불안감은 바이킹으로서의 행동에 트라우마를 겪고, 서로 다른 인종의 사람들이 평화롭게 살 수 있는 땅을 만들기 위해 빈란드를 세우기로 결심하는 토르핀의 캐릭터에 투영되었다.[41]

5. 제작 배경

유키무라 마코토는 폭력적인 접근 방식이 좋은 결과를 낳지 못한다는 메시지를 담아 만화 ''빈란드 사가''를 제작했다. 이를 위해 토르핀 캐릭터는 무례한 십 대에서 작가가 되고 싶어 하는 성숙한 사람으로 성장하도록 만들어졌다.[21] 그는 주인공 토르핀을 그릴 때 가장 초기의 컨셉 중 하나는 노예에 대한 이야기를 만드는 것이라고 말했다. 노예임에도 불구하고 토르핀은 여러 도전에 직면하여 목표를 달성할 것이다. 유키무라는 노르웨이의 올라프 1세 트뤼그바손 왕의 영향을 받았는데, 그는 왕의 자리를 잃고 노예가 되었지만 왕좌로 돌아오는 데 성공했다. 매우 인기가 높았던 트뤼그바손과는 달리 토르핀은 훨씬 더 많은 문제에 직면하도록 그려졌다. 유키무라는 토르핀이 억압과 인간의 고통에 대해 배우기를 원했다.[22] 하지만 편집자의 불만에 따라 주인공은 바이킹으로 변경되었다. 작가는 이러한 제안된 설정에 동의했는데, 토르핀이 이야기의 후반부에서 바이킹이 됨으로써 비극의 원인을 이해하기를 원했기 때문이다.[23]

유키무라는 2005년 4월 고단샤의 ''주간 소년 매거진''에서 ''빈란드 사가''의 연재를 시작하여 2005년 10월까지 연재했다. 두 달간의 휴지기를 거쳐 2005년 12월 말에 고단샤가 소유한 세이넨 만화 잡지 ''월간 애프터눈''에서 연재를 재개했다. 이러한 전환은 유키무라가 장기적인 주간 제작 일정을 유지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발생했다.[24]

삽화와 전투 시퀀스와 관련하여 유키무라는 먼저 머릿속으로 시각화한 다음 그림을 그린다. 그는 최고의 만화가 중 한 명이라고 생각하는 키시로 유키토의 ''총몽''에서 영감을 받았다. 유키우라는 일반적으로 12시간 가까이 작업을 하는 동안 세 명의 조수의 도움을 받았다. 그는 각 챕터에 30페이지를 할애하려고 한다.[25] 그는 때때로 18시간 동안 작업하는데, 그의 기술 중 하나가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그는 매일 한 페이지를 제작하여 출판사에 제출한다고 말했다.[29] 코로나19 범유행 제한으로 인해 168화부터 완전히 디지털 방식으로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지만, 스캔하기 전에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잉크를 칠하고 디지털 방식으로 마무리 작업을 한다.[26]

유키무라에 따르면, 이 시리즈는 "전쟁", "노예", "동방 원정", 그리고 마지막 네 번째 아크로 나뉜다. 2019년 11월, 유키무라는 만화가 마지막 아크에 들어갔다고 발표했다. 이 아크는 50화가 넘고 1,000페이지가 넘으며 "몇 년"이 걸릴 것이다.[27]

단행본은 '매거진 판' 1, 2권이 발매된 후 판형 및 수록 에피소드를 변경하여 '애프터눈 판'으로 새롭게 1권부터 다시 출판되었다.

6. 평가

《빈란드 사가》는 일본에서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2008년 6월까지 첫 5권의 누적 판매량이 120만 부를 기록했고,[82] 2018년에는 누적 발행 부수가 500만 부를 넘어섰으며,[83] 2022년 8월에는 700만 부 이상 발행되었다.[86] 여러 권이 타이쇼샤의 만화 베스트셀러 10위 안에 들기도 했다.[84][85]

작품에 대한 평가는 높은 편이다. 수상 경력은 다음과 같다.

연도상 이름결과
2008만화 대상후보
2009일본 문화청 미디어 예술제 만화 부문 대상대상
2012코단샤 만화상 일반 부문수상
2022일본 미디어 예술제심사 위원 추천 작품



국제적인 출시 이전에도 국제 만화 커뮤니티의 주목과 찬사를 받았다. 2006년, 《The Comics Journal》은 스캔본 그룹의 가치 있는 만화 목록에 《빈란드 사가》를 포함시켰다.[87] 평론가들은 유키무라 작가가 전작 《플라네테스》에서 액션 장르로의 전환을 잘 해냈다고 평가하며, 유려한 액션 시퀀스에 대해 칭찬했다. 다만, 역사 소설 시리즈에서 불신 해소의 정도에 대한 비판도 있었다.[24][88]

공식 출시 후, 첫 번째 단행본은 Anime News Network의 레베카 실버만에 의해 리뷰되었다. 그녀는 "매우 몰입도 높은 책"이라고 묘사하고 중세 시대를 묘사하는 데 있어서의 세부 묘사와 "훌륭한 시대적 디테일"에 대해 칭찬했지만, 흥미로운 여성 캐릭터의 부족에 대해 실망감을 표했다.[89] 《Comics Worth Reading》의 요한나 드레이퍼 칼슨은 첫 번째 단행본의 액션이 "빠르고, 잘 묘사되었으며, 상세하다"고 묘사했지만 "그 전제를 뛰어넘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대신 그녀는 가족 생활을 묘사하는 장면에 더 감명을 받았으며, "유키무라에게서 기대했던 통찰력 있는 캐릭터 작업이 여기서 나타났다"고 말했다.[90] 칼슨은 또한 가정 생활을 묘사하는 장면이 이야기에 기반을 제공하고 종교와 정치를 엮어 《빈란드 사가》를 "여러 수준에서 매혹적인 읽을 거리"라고 칭찬했다.[91]

《현대 일본 문학을 통해 본 유럽 중세》에서 투르 대학교의 막시멘 데니스는 《그린란드인들의 사가》와 《붉은 머리 에릭의 사가》에서 토르핀의 실제 삶에 대한 적절한 지식이 부족했기에, 유키무라가 주인공이 청소년기에 바이킹이 되는 과정에 대해 더 독창적인 배경을 제시하게 되었고, 이것이 토르켈의 초자연적인 힘과 대조되는 현실적인 캐릭터성을 부여한다고 지적했다. 작가에 따르면, 토르핀은 원래 복수에 의해 움직이지만, 만화는 또한 그의 권력에 대한 욕망을 탐구하며, 이는 "21세기 '중세' 일본에서 고향을 찾기 위해 필사적으로 고군분투하는 사람들"과 유사하다.[92]

첫 번째 스토리 아크가 끝난 후, 비평가들은 토르핀의 더 조용한 성격에 놀랐고, 노예 생활에도 불구하고 플롯이 다른 노예들과의 그의 삶을 흥미롭게 만들었다고 언급했다.[93][94] 토르핀과 구리드의 로맨틱한 관계는 《Manga News》를 놀라게 했지만, 그들은 여전히 ​​유명한 어두운 시리즈에 더 가벼운 분위기를 부여하는 결혼식 묘사를 높이 평가했다.[95] 《Manga Sanctuary》도 동의하며, 토르핀이 그의 아버지의 유산을 그의 퀘스트 동안 충실히 지키고, 그의 새로운 가족, 아내 구리드뿐만 아니라 그를 종종 변호하는 양아들까지 매력적으로 만들었다고 평가했다.[96][97]

예술성에 관해서, 실버만은 처음에는 "다소 평범한 소년만화"라고 느꼈지만,[89] 노예 아크 동안의 예술적 개선을 칭찬했다.[98] 패널 구성, 현실적인 야만적인 폭력, 그리고 배경을 구성하는 데 있어서의 세부 묘사가 강조되었으며, 미우라 켄타로의 장기간 연재작 《베르세르크》와 비교되었다.[24][88] 《Comic Book Resources》는 만화가 높은 인기를 얻게 된 이유 중 하나로 예술성을 칭찬했다.[99] 상인 아크에서 액션 장면의 부활은 유키무라의 예술이 얼마나 상세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Manga News》에 의해 칭찬받았다.[100]

다른 만화 작가들도 《빈란드 사가》에 대해 언급했다. 《진격의 거인》의 작가 이사야마 하지메는 토르핀의 인간성과 죄책감 때문에 《빈란드 사가》에서 가장 좋아하는 캐릭터라고 말했다.[101] 특히, 그는 토르핀이 노예가 되면서 액션 스토리에서 더 차분한 전개로 전환되는 방식을 즐겼으며, 이를 통해 구원의 퀘스트를 위해 폭력적인 날들을 버릴 때 주목할 만한 캐릭터 아크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했다.[102] 작가 세코 히로시는 바이킹 이야기에서 토르핀의 나이와 역할이 시리즈의 인기 이유 중 하나라고 믿는다.[40]골든 카무이》의 작가 노다 사토루는 만화가 이미 배경과 함께 북유럽 요소를 묘사하기 시작하는 유키무라의 작품을 칭찬했다. 캐릭터와 관련하여, 노다는 아스켈라드의 뛰어난 기술과 잔혹하고 무자비한 특징을 특히 즐겼다.[103]

유키무라는 첫 번째 스토리 아크가 끝난 후 팬들로부터 토르핀이 더 이상 바이킹으로 묘사되지 않고 대신 농사를 짓는 데 시간을 보내면서 여러 부정적인 반응을 받았다고 회상했다. 작가는 이러한 변화에 대해 독자들에게 사과했지만, 여전히 시리즈를 폭력적인 주제로 되돌리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한다. 대신, 유키무라는 팬들에게 폭력에 초점을 맞춘 만화인 《진격의 거인》을 고려하라고 말했다.[104]

크런치롤 애니 어워드 2024에서 애니메이션 오브 더 이어, 최우수 지속 시리즈상, 최우수 촬영상, 최우수 드라마 작품상, 최우수 주연 캐릭터상(토르핀)에 노미네이트되었다.[132]

7. 미디어 믹스

사운드 시어터 기획에 따라, '''SUPER SOUND THEATRE 『빈란드 사가 ~영웅 부활의 장~』'''이라는 제목으로 2017년 9월 30일부터 10월 1일까지 마이하마 앰피시어터에서 총 4회 공연되었다. 각본 및 연출은 토미오카 아츠히로, 음악 감독은 츠치야 유우사쿠가 담당했다.

7. 1. 애니메이션

2018년 3월, 빈란드 사가의 TV 애니메이션 시리즈 제작이 발표되었다. 트윈 엔진, Production I.G, WIT STUDIO, 코단샤가 제작을 담당했다.[59]

2019년 WIT STUDIO 제작으로 TV 애니메이션 시즌 1이 방영되었으며,[123] 2023년 MAPPA 제작으로 시즌 2가 방영되었다.[123] 감독은 야부타 슈헤이, 시리즈 구성은 세코 히로시, 캐릭터 디자인은 아비루 타카히코가 맡았다.[59]

시즌 1[123]시즌 2
원작유키무라 마코토
감독야부타 슈헤이
시리즈 구성세코 히로시
캐릭터 디자인
총 작화 감독
아비루 타카히코
제작WIT STUDIOMAPPA
제작빈란드 사가
제작 위원회
빈란드 사가 SEASON2
제작 위원회



시즌 1은 2019년 7월 7일부터 NHK 종합 텔레비전에서 24화로 방영되었다.[61][62] 아마존은 자사의 프라임 비디오 서비스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이 시리즈를 스트리밍했다.[63][64]

시즌 2는 2023년 1월 10일 도쿄 MX, BS11, GBS에서 방영을 시작했으며,[74][75] 총 24화로 방영되었다.[77] 시즌 2는 넷플릭스크런치롤에서 시청할 수 있었다.[78]

7. 2. 무대

2024년 4월 19일부터 29일까지 코쿠민 쿄사이 coop 홀/스페이스 제로에서 무대 《빈란드 사가》 ~바다 끝의 끝 편~과 무대 《빈란드 사가》 ~영웅 부활 편~이 상연되었다.[79] 각본 및 연출은 니시다 다이스케가 맡았다. 하시모토 쇼헤이가 토르핀 역, 키타무라 료가 크누트 역, 하야시노 타케시가 토르켈 역, 이소가이 료코가 비요른 역, 하기노 타카시가 아셰라드 역을 맡았다.

7. 3. 기타

유키무라 마코토는 비디오 게임 《어쌔신 크리드 발할라》와의 콜라보레이션 만화를 그려 2020년 10월 23일에 유비소프트 웹사이트에 업로드했다.[80]

참조

[1] 웹사이트 Vinland Saga - Review https://www.animenew[...] 2020-04-17
[2] 웹사이트 Vinland Saga extras! https://kodanshacomi[...] Kodansha Comics 2020-04-18
[3] 웹사이트 Vinland Saga - House of 1000 Manga https://www.animenew[...] 2020-04-18
[4] 뉴스 Vikings Seek New Land in "Vinland Saga" TV Anime http://www.crunchyro[...] 2018-07-19
[5] 웹사이트 Dossier Vinland Saga - YUKIMURA Makoto - Partie 1 https://www.manga-ne[...] 2021-02-22
[6] 웹사이트 The Real Viking Lore That Inspired Vinland Saga https://www.cbr.com/[...] 2021-02-22
[7] 서적 "Vinland Saga 1" Kodansha
[8] 서적 "Vinland Saga 4" Kodansha
[9] 서적 "Vinland Saga 4" Kodansha
[10] 서적 "Vinland Saga 4" Kodansha
[11] 서적 "Vinland Saga 7" Kodansha
[12] 서적 "Vinland Saga 7" Kodansha
[13] 서적 "Vinland Saga 8" Kodansha
[14] 서적 "Vinland Saga 8" Kodansha
[15] 서적 "Vinland Saga 9" Kodansha
[16] 서적 "Vinland Saga 9" Kodansha
[17] 서적 "Vinland Saga 11" Kodansha
[18] 서적 "Vinland Saga 12" Kodansha
[19] 서적 "Vinland Saga 26" Kodansha
[20] 서적 Vinland Saga Chapter 205: Thousand Year Voyage Part 14 Kodansha
[21] 트윗 We love it when mangaka visit! See what Vinland Saga creator Makoto Yukimura shared with us at #KodanshaHouse. 2024-10-24
[22] Youtube https://www.youtube.[...] 2022-08-20
[23] 간행물 https://www.famitsu.[...] 2022-08-21
[24] 웹사이트 Valhalla, I am Coming... http://mangacast.net[...] MangaCast 2008-08-26
[25] 서적 Vinland Saga Deluxe Edition 3 Kodansha USA
[26] 웹사이트 https://natalie.mu/c[...] Natasha, Inc. 2022-11-24
[27] 웹사이트 Makoto Yukimura Starts Drawing Final Arc of Vinland Saga Manga http://www.animenews[...] 2019-11-10
[28] 웹사이트 INTERVIEW: Makoto Yukimura Discusses His Inspirations & Historical Research Behind Vinland Saga https://anitrendz.ne[...] 2023-11-22
[29] 웹사이트 Vikinger à la manga https://www.aftenpos[...] 2022-09-02
[30] 웹사이트 https://mantan-web.j[...] 2022-09-09
[31] 웹사이트 https://media.comics[...] 2022-08-28
[32] 웹사이트 https://media.comics[...] 2022-08-28
[33] 웹사이트 https://mantan-web.j[...] 2022-08-27
[34] 웹사이트 https://media.comics[...] 2022-08-28
[35] 서적 'Vinland Saga 13' Kodansha
[36] 웹사이트 Manga Was Marquee at San Diego Comic-Con https://www.publishe[...] Publisher Weekly 2023-08-01
[37] 웹사이트 『幸村誠先生』 その1 まんが☆天国 https://archive.toda[...] Manga Nohi 2008-01-07
[38] 서적 "Vinland Saga 6" Kodansha
[39] 웹사이트 【Vinland Saga】The Manga Artist Behind the Stories https://www.youtube.[...] 2023-06-30
[40] 웹사이트 Interview: Vinland Saga Creator, Staff on Returning to the Viking Epic for Season https://www.crunchyr[...] 2022-08-09
[41] 웹사이트 「逃げる戦士」描きたい 北欧バイキング題材に暴力の連鎖問う 幸村誠さん(漫画家) https://www.tokyo-np[...] 2022-09-07
[42] 웹사이트 週刊少年マガジン第20号 4月13日 http://www.shonenmag[...] Kodansha 2021-01-17
[43] 웹사이트 ★『プラネテス』の幸村誠、週刊少年マガジン20号(4/13発売)より、な、なんと!! 週刊連載開始!! http://kodansha.cpla[...] Kodansha 2022-04-14
[44] 웹사이트 週刊少年マガジン 2005年 表示号数45 https://mediaarts-db[...] Agency for Cultural Affairs 2021-01-17
[45] 웹사이트 Vinland Saga by Planetes Creator https://www.animenew[...] 2005-11-28
[46] 웹사이트 アフタヌーン2月号(12月24日発売) http://www.afternoon[...] Kodansha 2021-01-17
[47] 웹사이트 06年2月号のアフタヌーン http://www.afternoon[...] Kodansha 2021-01-17
[48] 웹사이트 ヴィンランド・サガ(1) http://kc.kodansha.c[...] Kodansha 2020-10-16
[49] 웹사이트 ヴィンランド・サガ(2) http://kc.kodansha.c[...] Kodansha 2020-10-16
[50] 웹사이트 ヴィンランド・サガ(1) http://kc.kodansha.c[...] Kodansha 2020-10-16
[51] 웹사이트 ヴィンランド・サガ(2) http://kc.kodansha.c[...] Kodansha 2020-10-16
[52] 웹사이트 ヴィンランド・サガ(28) https://kc.kodansha.[...] Kodansha 2024-06-21
[53] 웹사이트 Kodansha USA Adds Unreleased Yukimura Story to Vinland Saga http://www.animenews[...] 2013-03-24
[54] 웹사이트 Kodansha USA Adds Vinland Saga, Sankarea, No. 6, Tokyo Mew Mew A la Mode http://www.animenews[...] 2013-03-24
[55] 웹사이트 Vinland Saga 13 https://kodansha.us/[...] Kodansha USA 2023-07-16
[56] 웹사이트 Fall 2023 New Print Licensing Announcement https://kodansha.us/[...] Kodansha USA 2022-11-23
[57] 웹사이트 Kodansha USA Licenses Miraculous: Tales of Ladybug & Chat Noir, 15 More Manga https://www.animenew[...] 2022-11-25
[58] 웹사이트 Vinland Saga Deluxe, Volume 1 https://kodansha.us/[...] 2024-06-27
[59] 웹사이트 Vinland Saga Anime Unveils Main Staff, Visual https://www.animenew[...] 2018-08-20
[60] 웹사이트 Vinland Saga Anime's 1st Animated Promo Unveils Main Cast, Additional Staff https://www.animenew[...] 2019-02-06
[61] 웹사이트 Vinland Saga Anime's Subtitled Promo Reveals More Cast, 24-Episode Run, July 6 Debut https://www.animenew[...] 2019-04-24
[62] 웹사이트 Vinland Saga Anime Reveals 3rd Promo Video, 13 More Cast Members https://www.animenew[...] 2019-06-01
[63] 웹사이트 Vinland Saga Manga Gets TV Anime by Wit Studio https://www.animenew[...] 2018-03-19
[64] 웹사이트 Vinland Saga TV Anime Premieres in 2019 https://www.animenew[...] 2018-08-10
[65] 웹사이트 Sentai Unveils "Vinland Saga" Home Video Plans https://www.sentaifi[...] Sentai Filmworks 2021-05-20
[66] 웹사이트 Sentai Filmworks Licenses Vinland Saga Anime for Home Video This Summer https://www.animenew[...] 2021-05-20
[67] 웹사이트 Vinland Saga Complete Collection https://www.sentaifi[...] 2021-06-13
[68] 웹사이트 Sentai Shares Vinland Saga English Dub Preview, Reveals Full Cast https://www.crunchyr[...] 2021-07-24
[69] 웹사이트 MVM Schedule for Early 2022 (Updated 2 https://www.animenew[...] 2022-03-24
[70] 웹사이트 Vinland Saga Season 1 to Stream on Netflix, HiDive, and Crunchyroll https://anitrendz.ne[...] 2022-06-08
[71] 웹사이트 Vinland Saga Anime's 1st Season Streams on Netflix, HIDIVE on July 7 https://www.animenew[...] 2022-07-03
[72] 웹사이트 "「ヴィンランド・サガ」SEASON2制作決定!ティザービジュアル公開" https://natalie.mu/c[...] Natasha, Inc. 2021-07-07
[73] 웹사이트 Vinland Saga Anime Gets 2nd Season https://www.animenew[...] 2021-07-07
[74] 웹사이트 制作はMAPPA、新キャストに武内駿輔ら https://natalie.mu/c[...] Natasha, Inc. 2022-06-08
[75] 웹사이트 Vinland Saga Anime's 2nd Season Reveals Promo Video, Cast, January 2023 Premiere, Production by MAPPA https://www.animenew[...] 2022-06-08
[76] 웹사이트 ON AIR https://vinlandsaga.[...] 2022-10-24
[77] 웹사이트 TV Anime 「VINLAND SAGA」SEASON 2 PROJECT MOVIE 特別鼎談インタビュー https://www.youtube.[...] 2022-06-12
[78] 웹사이트 Vinland Saga 2nd Season Anime's New Trailer Reveals January 9 Premiere (Updated) https://www.animenew[...] 2022-10-24
[79] 웹사이트 Vinland Saga Manga Gets 2 Stage Plays in April https://www.animenew[...] 2024-01-13
[80] 웹사이트 Vinland Saga Gets Crossover Manga with Assassin's Creed Valhalla Game https://www.animenew[...] 2020-10-26
[81] 웹사이트 ヴィンランド・サガ 公式ガイドブック https://kc.kodansha.[...] Kodansha
[82] 서적 Vinland Saga 6 Kodansha
[83] 웹사이트 Vinland Saga Creator Makoto Yukimura Offers Used Pen Nibs http://www.animenews[...] 2018-05-26
[84] 웹사이트 Weekly Taiyosha Rankings - for Oct 23 - Oct 29, 2006 http://mangacast.net[...] MangaCast 2006-10-30
[85] 웹사이트 Weekly Taiyosha Manga Rankings ~ June 30, 2008 http://mangacast.net[...] MangaCast 2008-06-30
[86] 웹사이트 Vinland Saga and Complete Blood-C Released Monday https://www.animenew[...] 2022-08-28
[87] 웹사이트 A Comics Reader's Guide to Manga Scanlations http://www.tcj.com/i[...] The Comics Journal 2006-10-13
[88] 웹사이트 Scanlation Spotlight:Vinland Saga http://www.japanator[...] Japanator 2007-07-06
[89] 웹사이트 Vinland Saga GN 1 - Review https://www.animenew[...] 2013-11-23
[90] 웹사이트 Vinland Saga Volume 1 https://comicsworthr[...] 2014-01-01
[91] 웹사이트 Vinland Saga Volume 2 https://comicsworthr[...] 2014-01-22
[92] 간행물 Mutual Images, Volume 1 https://pdfs.semanti[...]
[93] 웹사이트 Vinland Saga GN 7 https://www.animenew[...] 2016-01-21
[94] 웹사이트 Vinland Saga GN 8 https://www.animenew[...] 2017-07-09
[95] 웹사이트 Vinland Saga Book 23 Review https://www.manga-ne[...]
[96] 웹사이트 Vinland Saga Book 23 Review https://www.manga-sa[...]
[97] 웹사이트 Vinland Saga Book 24 Review https://www.manga-sa[...]
[98] 웹사이트 Vinland Saga https://www.animenew[...]
[99] 웹사이트 10 Ways Vinland Saga Is The Best Manga Ever https://www.cbr.com/[...]
[100] 웹사이트 Critique du volume manga https://www.manga-ne[...]
[101] 웹사이트 Attack on Titan's Creator Is a Big Fan of Vinland Saga https://www.animenew[...] 2022-08-23
[102] 웹사이트 Vinland Saga 2 https://natalie.mu/c[...]
[103] 웹사이트 "ヴィンランド・サガ×ゴールデンカムイ:幸村誠、野田サトル対談 第1回 愛爆発 緻密な取材の裏側も" https://mantan-web.j[...] 2019-07-06
[104] 웹사이트 Vinland Saga's Makoto Yukimura Shares Opinion on Violence: 'Consider Attack on Titan' https://www.animenew[...] Anime News Network 2023-08-11
[105] 웹사이트 And the Nominees Are... (the 1st Cartoon Grand Prize) http://mangacast.net[...] MangaCast 2008-03-28
[106] 웹사이트 Summer Wars, Vinland Saga Win Media Arts Awards http://www.animenews[...] 2009-12-03
[107] 웹사이트 Vinland Saga {{!}} Jury Selections {{!}} Manga Division {{!}} 2022 [25th] Japan Media Arts Festival Archive http://archive.j-med[...] 2022-10-12
[108] 웹사이트 36th Annual Kodansha Manga Awards Announced http://www.animenews[...] 2015-03-27
[109] 간행물 漫画でつなぐ、中世北欧と現代日本 https://doi.org/10.1[...] 立教大学 2018-04
[110] 웹사이트 テレビアニメ『ヴィンランド・サガ』と佐賀県がコラボ!? 秋葉原にて“ヴィンランドをサガせ! 大航海謎解きスタンプラリー”実施 https://www.famitsu.[...] 2019-09-21
[111] 뉴스 『ヴィンランド・サガ』出演声優に石上静香さん・上村祐翔さん・松田健一郎さん決定!3人からのコメントも到着 https://www.animatet[...] アニメイト 2019-02-06
[112] 뉴스 COLLABORATION http://www.lordofv.c[...] LORD of VERMILION IV - ロード オブ ヴァーミリオン IV 2018-09-17
[113] 웹사이트 西田大輔が「VINLAND SAGA」を舞台化 トルフィン役は橋本祥平、クヌート役は北村諒 https://natalie.mu/s[...] ナターシャ 2024-01-13
[114] 웹사이트 https://twitter.com/makotoyukimura/status/1489015116255600640?s=20&t=sKpkFV_OOKTgqBrmMcVTpw https://twitter.com/[...] 2023-02-03
[115] 웹사이트 https://twitter.com/makotoyukimura/status/1546715901424443392?s=20&t=sKpkFV_OOKTgqBrmMcVTpw https://twitter.com/[...] 2023-02-03
[116] 뉴스 「ヴィンランド・サガ」上映会に幸村誠がヴァイキング風衣装でサプライズ登場 https://natalie.mu/c[...] ナターシャ 2019-06-02
[117] 뉴스 「ヴィンランド・サガ」2期は2023年1月から!制作はMAPPA、新キャストに武内駿輔ら https://natalie.mu/c[...] ナターシャ 2022-06-08
[118] 웹사이트 https://twitter.com/makotoyukimura/status/1671288978811801601?s=20 https://twitter.com/[...] 2023-06-21
[119] 웹사이트 https://twitter.com/makotoyukimura/status/1589540087943270400?s=20&t=sKpkFV_OOKTgqBrmMcVTpw https://twitter.com/[...] 2023-02-03
[120] 웹사이트 https://twitter.com/makotoyukimura/status/1583446680741228544?s=20&t=sKpkFV_OOKTgqBrmMcVTpw https://twitter.com/[...] 2023-02-03
[121] 웹사이트 「ヴィンランド・サガ」既刊・関連作品一覧 https://kc.kodansha.[...] 講談社 2024-06-21
[122] 뉴스 『どろろ』、『バビロン』、『ペット』、『ヴィンランド・サガ』TVアニメ化決定!『からくりサーカス』もアニメ化進行中! https://www.animatet[...] アニメイト 2018-03-19
[123] 뉴스 2019年放送予定のTVアニメ『ヴィンランド・サガ』第1弾アニメビジュアル&メインスタッフ情報が解禁! スタッフコメントも到着! https://www.animatet[...] アニメイト 2018-08-20
[124] 웹사이트 STAFF/CAST https://vinlandsaga.[...] 2019-06-02
[125] 뉴스 Survive Said The Prophet、「ヴィンランド・サガ」OPに“けじめ”を表現した新曲提供 https://natalie.mu/m[...] 2019-05-17
[126] 뉴스 マンウィズとmiletが「ヴィンランド・サガ」新テーマ曲担当、2組のコラボ曲も制作 https://natalie.mu/m[...] 2019-09-01
[127] 웹사이트 Aimer 17th single『Torches』8月14日リリース決定!TVアニメ「ヴィンランド・サガ」エンディング・テーマに決定! https://www.aimer-we[...] 2019-06-09
[128] 뉴스 「ヴィンランド・サガ」2期のOPテーマはAnonymouz、楽曲を使用したトレーラー公開 https://natalie.mu/c[...] 2022-10-24
[129] 뉴스 アニメ「ヴィンランド・サガ SEASON 2」2期OPをサバプロ、EDをhaju:harmonicsが担当 https://natalie.mu/m[...] 2023-03-31
[130] 웹사이트 週間番組表 (2023/01/09〜2023/01/15) https://www.at-x.com[...] エー・ティー・エックス 2023-01-09
[131] 웹사이트 Blu-ray&DVD https://vinlandsaga.[...] 2023-04-18
[132] 뉴스 クランチロールのアニメ・オブ・ザ・イヤーは「呪術廻戦」!監督賞など複数受賞 https://natalie.mu/c[...] ナターシャ 2024-03-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